김덕균 단장 |
여기서 효자 부부의 밥그릇 이야기는 아무리 전설이라도 일상적 효행이 아니기 때문에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가난한 가운데서도 늙은 어머니 봉양에 빈틈이 없었던 부부에게 어린 아이가 태어나 자라면서 어머니의 밥그릇을 축내는 것을 본 남편이 "애는 또 낳을 수 있지만 어머니는 한 분뿐 아니오."라고 말하고는 어머니 봉양을 위해 아이를 땅에 묻기로 결심한 사연이다. 그리고 땅을 파는데 거기서 그릇이 나왔고 그 그릇이 바로 먹거리가 쏟아지는 밥그릇이었다는 이야기다.
비슷한 이야기가 삼국유사 효선편에 '손순매아(孫順埋兒)'란 이야기로 나온다. 내용은 대전 식장산 부부 이야기와 거의 같다. 다만 땅에서 나온 게 돌종(石鐘)이란 것만 다르다. 종은 경종의 의미로 뭔가 사연을 알리는 기능을 한다. 막상 종소리를 들은 임금님이 효자 부부를 칭송하고 포상했다는 이야기로 전개된다.
내용상 사실성보다는 효를 강조하기 위한 레토릭일 가능성이 높다.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내용이지만 효를 하면 복을 받는다는 교훈적 내용을 담았다. 그런데 이런 효행 이야기에는 원조가 따로 있다. 중국의 역대 효자들을 수록한 '24효'가 그것이다. 원나라 때 중국 고대사회의 대표적인 효자 24명을 뽑아서 만든 효행록으로 고려와 조선 사회에 깊은 영향을 준 책이다. 고려 때 편찬한 삼국유사와 효행록, 조선의 삼강행실도와 오륜행실도 등 각종 효행 서적에 이들 내용들이 그대로 실렸다. 거기에 '손순매아'와 대전 효자 부부 이야기의 원조 격인 곽거(郭巨)의 '위모매아(爲母埋兒)' 이야기가 나온다.
이 이야기가 전하는 곳은 산동성 제남시 장청현 효리(孝里) 효당산(孝堂山)에 있다. 산동사범대학 장청캠퍼스에서 가깝다 해서 찾아 나섰지만, 30km가 넘었고 차로 1시간이상 걸렸다. 역시 중국인들의 시공관념은 우리와 많이 다른 것 같다. 아무튼 찾아간 효당산은 해발 57m밖에 되지 않는 야트막한 산이었고, 산 정상 부위에 곽거의 사당과 그를 기리는 비석들이 즐비했다. 내용 가운데는 신라 사신들의 기록도 있어 이곳이 당나라 장안으로 가는 길목이었음을 알게 한다. 아마도 주변에 흐르는 황하를 이용하다가 곽거의 사당이 있는 이곳 효당산에 머물면서 자신의 이름을 남긴 것 같다. 한창 공사 중인 현장은 앞으로 이곳을 한국효문화진흥원처럼 중국 효문화진흥의 전초기지로 삼으려는 의도가 있는 게 아닌가 생각된다.
즐비한 비문들은 역대 왕조마다 효자 곽거를 칭송하는 내용들이다. 이런 효자 곽거의 사당에 들른 신라인들이 귀국 후 한국사회에 그 이야기를 전달했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 그리고 그 흔적이 대전과 경주에 구체적으로 남은 것이다.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상적인 효행을 갖고 영향 관계를 말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하지만 부모 위해 자신의 아이를 희생시킨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고 상식에서도 많이 벗어나 있다. 이런 특별한 효행 사례는 어딘가의 영향 관계에서나 설명 가능한 일이다. 그렇다면 시기상 동한 시대의 산동 곽거가 먼저이고 전승 설화로 내려오는 대전과 문헌에 남은 신라 경주가 그 다음 순서일 것이다. 경주보다 대전을 먼저 든 것은 전래루트를 감안한 판단이다. 중국 산동성 제남에서 시작된 특별한 효행설화가 대전에 흔적을 남기고 경주에 영향을 주며 기록으로 남았을 가능성이다. 이를 감안한 한중효문화 교류의 구체적인 흐름과 내용도 살펴볼 필요성을 절감한다.
/김덕균 중국산동사범대학 한국학연구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