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철 목원대 교수가 대전역 동광장 철도보급창에서 열린 학술대회를 통해 문학 속 대전역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
한상철 목원대학교 스톡스대학 기초교양학부 교수는 9월 6일 대전역 동광장 철도보급창에서 열린 '대전역사문화 학술대회'에서 '문학에서 다뤄진 대전역과 삶의 모습'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신동엽 시에 나타난 백제와 혁명의 역사화' 논문을 발표하고, '식민과 제국의 교차로, 역의 문학사-20세기 전반의 대전역을 중심으로'에서 대전역 준공과 관련 문학에 대한 앞선 연구를 수행했다.
한상철 교수는 1904년 러일전쟁의 보급로 확보를 위해 속성으로 건설된 조선 철도망의 신생역 대전정거장이 문학에서 어떻게 다뤄졌는지 주목해 일제강점기 문학에서 대전역은 '식민과 제국의 교차로'이었다고 분석했다. 단편소설 '표본실의 청개구리'로 알려진 작가 염상섭의 '만세전(1924년)'에서 작중 인물 이인화가 도쿄에서 경성으로 기차를 타고 귀환하던 중 1918년 정차한 대전역에서 대전 시내를 바라본 감상이 담겼다.
『만세전』염상섭. 1924.
「자정이나 넘은 뒤에 차는 대전(大田)에 와서 닿았다.(중략) 대합실도 없이 이런 벌판에 세워둘 지경이면 어서 찻간으로 들여보낼 일이지.(중략) 정거장 문밖으로 나서서 눈을 바삭바삭 밟으며 큰길 거리로 나가니까 칠년 전에 일본으로 달아날 제, 오정 때 대전에서 내려서 점심을 사먹던 그 집이 어디인지 방면도 알 수 없이 시가가 변했다. 길 맞은편으로 쭉 늘어선 것은 빈지를 들였으나 모두가 신축한 일본 사람 상점이다. 우동을 파는 구루마가 쩔렁쩔렁 흔드는 요령소리만이 괴괴한 거리에 처량하다.(중량) 찻간 안으로 들어오며 나는 혼자 속으로 외쳤다. '무덤이다! 구더기가 끓는 무덤이다!」
일제강점기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엽서봉투에 경부와 호남선의 대전역 위치와 유성온천이 안내되어 있다. (사진=대전시립박물관 제공) |
한상철 교수는 "염상섭이 그려놓은 대전역의 불편하면서도 괴괴한 정경은 백여 년 후 황석영의 장편소설 '철도원 삼대'에서도 부활한다"라며 "일본인 상점가, 그 안에 뿌리내린 유곽에서 비롯한 식민 도시는 지난 백년 간 한국문학에 등장했던 강점기 시절 대전역의 꼬리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전역이 작중 인물들의 목적지가 아니라 경유지로써 등장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논산 출신 엄홍섭의 '세기의 애인'(1939)에서 광주에서 오는 남성과 광주에서 올라온 여성이 대전역에 정차한 기차 한 객실에서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나, 채만식의 '탁류'(1937)에서 대전역에 당도해 유성온천을 찾는 제호와 초봉이에 대한 묘사가 나온다.
한 교수는 "염홍섭은 주인공들의 첫 만남을 위한 극적 무대로 대전역을 보여주는데, 두 사람의 출발지는 각각 경부선의 대구와 호남선의 광주였지만 분기점이라는 대전역의 특수성은 그들의 만남을 자연스러우면서도 극적으로 느끼게 해준다"고 해석했다.
그는 대전역의 복합적인 의미에 천착한 작가 채만식의 '역로'(1946)를 인용하며 "분단된 조국의 현실에 드리워진 불안한 그림자를 통렬하게 꿰뚫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 교수는 "1946년 작품 '역로'는 서울역에서 출발해 대전역에 이르는 두 인물의 여정을 그렸는데, 작중 인물의 대화를 통해 온전한 독립과 민족국가 건설로 이어지지 못한 한반도의 현실이 묘사됐다"라며 "대전역과 인근 여관촌의 열악한 현실이 생생하게 묘사되고 대전역에 정차한 미군 열차를 담아냄으로써 식민지를 갓 벗어난 한반도가 또 다른 제국주의 냉전 체제의 등장으로 인해 갈라지는 초입을 예리하게 잡아냈다"고 설명했다.
한국전쟁 초기 대전역은 보급과 수송을 위한 전략적 거점으로 활용되면서 1950년 7월 21일과 미군의 공중폭격으로 대전역은 크게 파괴되었고, 인천상륙작전이 전개된 1950년 9월 15일에는 대전과 경북 안동지역에서 B-29 폭격기 편대가 벌인 대규모 공습은 대전역 인근에 회복하기 어려운 피해를 가져왔다.
2023년 8월 23일 대전역 주차장 개발 공사장에서 발견된 6·25전쟁 때 추정되는 항공폭탄. (사진=공군본부 제공) |
「다음날 아침 정거장에 대대적인 폭격이 감행된 것이다. 하늘은 시꺼먼 중폭격기의 편대로 뒤덮여 있었다. 그 중폭격기의 편대가 정거장의 상공에 이르는 순간 폭탄이 우박처럼 쏟아져 내렸다. 또 한 번, 뒤따르던 편대도 시꺼먼 폭탄을 쏟아놓았다.」
한 교수는 "대전역이 폭격당하던 1950년 여름의 어느 하루를 묘사한 것은 한국전쟁 초기 대전역이 겪어야 했던 폭격의 아픔을 증언하는 텍스트로서도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양기철의 '길은 질퍽어리고'(1951), 김수남 '달바라기'(1980)를 통해 수많은 민간인이 전쟁으로 목숨을 잃거나 삶의 터전을 빼앗긴 현실을 기록했다.
한상철 교수는 "대전역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함께 살필 수 있고 문학에서도 그러한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라며 "전쟁의 참회를 겪지 않은 세대에게는 이미지와 구전으로 남아 있을, 침묵의 폐허가 그곳에 있다"고 밝혔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