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아웃 증후군, 의욕적으로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극도의 신체적, 정신적 피로감을 호소하며 무기력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한자어로 소진이라고 한다. 요즘 직장인, 취업 준비생, 자영업자 등 다양한 계층에서 이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가까운 주변만 생각해도 그렇다. '하루만 쉬고 싶어, 멀리 여행 가고 싶다, 그냥 때려치울까' 소소한 얘기를 하다 보면 꼭 등장하는 말이다. 그땐 웃으며 넘겼지만 삶에 대한 만족이 아닌 불만족만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는 현실이 무섭다.
갓생 살기가 열풍을 일으켰던 적이 있다. 하나의 밈으로 자리 잡은 갓생은 갓(GOD)과 인생의 합성어로, 모범적이고 생산적인 삶을 일컫는 말이다. 갓생이란 말이 생겨나기 전부터 아마 우리는 그렇게 살아왔던 것 같다. 초, 중, 고등학교 땐 좋은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대학교 땐 원하는 직장에 취업하기 위해, 직장을 다니면 선 더 높은 곳을 위해 열심히 달리는 사람들이 수두룩했고 지금도 그럴 것이다. 멀리서 보면 희극,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란 말이 있다. 멀리서 보면 대한민국의 성장 동력, 긍정적 변화로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과열된 경쟁에 지친 마음만이 보인다. 성과 입증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와 조직문화는 빠른 성장을 일궈냈지만 동시에 고질병을 만들어냈다.
갓생만을 살게 만든 사회적 구조가 불러온 번아웃, 이제 도로 사회에 문제를 떠안겨주고 있다. 그냥 쉬는 청년이 44만 명을 넘어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7월 청년층 가운데 쉬었음 인구가 지난해 동월 대비 4만 2000명 늘어난 44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구직을 미루는 이유로는 불안감, 우울감 같은 번아웃 증상을 꼽았다. 즉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인구가 줄어든다는 것인데, 그 타격은 시간이 지날수록 클 것이다. 또 다른 문제들이 수면 위로 올라오기 전, 지금 바로잡아야 한다.
극복 방법은 뭘까? 전문가들은 스트레스 상태를 인정하고 원인을 파악하는 것과 함께 '작은 쉼'을 이야기한다. 제주도 한 달 살기, 일주일 유럽 여행과 같이 큰 계획보단 산책과 운동, 명상, 취미 활동 등 일상에서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개인 차원의 노력도 필수적이지만, 원인 제공을 한 우리 사회도 책임감을 가져야 할 때이다. 휴식 지원, 맞춤 소통 창구와 같은 예방·회복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이하람 편집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