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0일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이응패스 카드 이미지. 사진=세종시 제공. |
통근버스 복지 수요를 상당 부분 흡수할 경우, 9월 3일 기준 4만 4552명을 넘어선 이응카드 발급자를 보다 확대하고 제도 도입 취지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9월 5일 행정안전부 및 세종시, 시교육청, 시의회에 따르면 1대당 40명 안팎의 탑승 기준 통근 버스는 정부부처 48대, 세종시 3대, 시교육청 1대, 등 합계 50대를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출근 시간대 최대 2000여 명이 대중교통 대신 통근버스를 이용하는 셈이다. 이는 세종시청 전체 직원 수에 가까운 수치에 해당한다. 여기에 16개 국책연구기관과 10여 개 공공기관이 운영 중인 통근버스를 포함하면, 이용자 수는 더욱 많아진다.
정부세종청사 통근버스는 2022년 수도권 운행을 중단했으나 충북 오송과 청주, 세종시 및 대전시 전역, 충남 공주시 등을 여전히 오가고 있다. 세종청사를 기·종점으로 한 출근 버스는 오송역 왕복이 1일 13대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전 둔산동(5대), 노은동(4대), 집현동~반곡동~소담동~보람동~대평동~제2청사~1청사(4대), 조치원(3대), 한솔동~새롬동~다정동(3대), 대전 중구와 서구, 해밀동~도담동~아름동, 청주(각 2대) 등의 순으로 배치됐다.
세종시도 조치원과 신도시 곳곳을 오가는 통근버스 3대, 세종시교육청은 1대를 운영하고 있다. 시의회는 청소년 의회 교육용, 내·외부 현장 조사 및 견학을 중심으로 하고, 때로는 통근을 지원하는 버스 1대를 확보하고 있다. 지방 행정기관들은 중앙과 달리 출·퇴근을 동시 지원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통근 버스 정류장으로 진입하는 루트. 사진=행정안전부 갈무리. |
행정안전부(정부청사관리본부)는 "통근버스는 에너지 절약 및 교통·주차난 해소에 기여하고, 세종시 정주 및 교통 여건 등의 불편을 해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시 관계자 역시 "직원 내부적으로 승용차 5부제부터 주차장 이용 유료화에 대한 불만이 있다. 최소한의 복지 제도"라고 밝혔다.
충분히 인정 가능한 복지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이응패스' 제도 도입은 통근버스에 대한 재인식을 가져오고 있다. 연간 운영 예산에 큰 차이가 없다면, 직원 복지를 이응패스로 전환해 제공하자는 제언이 내·외부에서 나오고 있다. 공직사회가 솔선수범으로 '대중교통중심 도시' 실현이란 국책사업 취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루트이기 때문이다.
정부가 일찌감치 국토교통부를 내세워 전 국민 대상의 'K-패스(걷고 자전거 타고 버스 탑승하면 요금 할인)' 제도를 도입해온 흐름도 고려 대상이다.
남궁호 교통국장은 "버스노선 개편 이전부터 정부청사와 세종시 통근버스를 운영해왔고, (직원 복지 제도인 만큼)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다"며 "앞으로 정부세종청사 관계 기관들과 적극 협의를 통해 이응패스를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시 입장에선 2~3만 명에 달하는 정부세종청사와 국책연구기관, 공공기관 종사자들이 이응패스를 적극 활용토록 하는 초기 작업이 또 다른 과제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