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
니체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거친 노동을 좋아하고 빠른 자, 새로운 자, 낯선 자에게 마음이 가는 모든 이들아. 너희는 참을성이 부족하구나. 너희의 부지런함은 자기 자신을 망각하려는 의지이며 도피다. 너희가 삶을 더 믿는다면 순간에 몸을 던지는 일이 줄어들 것이다. 하지만 너희는 내실이 부족해서 기다리지 못한다"고 말했습니다. 이것을 본다면 19세기 니체가 활동하던 시대에도 활동 과잉은 있었던 것 같은데 현대사회에는 말할 것도 없지요.
이와 관련하여, 2010년 독일에서 발간된 한병철 교수의 '피로사회'는 현대인이 왜 피곤하게 사는지를 잘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하면 안 된다'라는 통제사회에 초점을 두며 살아왔습니다. 그러나 지금 시대는 '~할 수 있다'는 것이 최상의 가치가 되는 긍정의 사회로 변모하였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10대는 입시·진학 때문에, 20대는 취업 준비 때문에, 30대는 육아와 살림에, 40대는 자식 뒷바라지에, 50대는 노후 준비에, 그리고 60대 이후는 다시 자식의 자식까지 돌보아야 하는 노인들이 적지 않아 모두가 피곤합니다. 성과사회에서는 성공만이 유일한 규율이며 미덕이기에 타자의 억압이나 위협이 없이도 우리는 자신을 자발적으로 착취함으로써 아이러니하게도 자신은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로 전락합니다. 이때는 규율사회와는 달리 '자발적'이라는 일견 자유로운 느낌이 동반되기 때문에 다른 누구도 아닌 자기 스스로에 의한 착취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다는 것이 한병철 교수의 진단입니다.
그러다 보니 오직 자신의 능력과 성과를 통해서 성과 주체로서의 존재감을 확인하려는 자아를 필요로 하고 스스로 설정한 목적에 다다르지 못한 것에 대한 좌절감은 우울증과 같은 신경질환으로 표출됩니다. 한병철 교수는 성과사회에서 신경성 질환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나치 수용소에 피골이 상접한 수감자인 '무젤만'에 비유했습니다.
또한 그는 세계가 전반적으로 긍정화로 대변되는 추세 속에서 개인이나 사회 모두 자폐성 성과 기계로 변화하였다고 역설합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여전히 행복하지도 풍요롭지도 못하지요. 오히려 알 수 없는 불안과 보다 나은 것에의 욕망에 사로잡혀 피로를 외면한 채 자신을 더욱 닦달합니다.
이렇게 '~하면 안 된다'는 통제사회는 부정성이 난무하여 광인과 범죄자를 양성했지만, 현대사회는 '~하면 된다'는 긍정성의 과잉으로 우울증과 낙오자를 양성하지요.
아울러 성과사회의 과잉활동, 과잉 자극에 맞서 사색적인 삶, 영감을 주는 무의와 심심함, 휴식, 사색, 참선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피로한 자아는 자신의 성공을 위해 자신을 채찍질하는 유아론적 세계에서 벗어나 타자와의 관계를 회복하고 새로운 영감을 얻어야 하겠지요.
'사색적 삶의 부활'이라는 거창한 담론보다는 우리 삶에서 활동 과잉을 줄여나갈 수 있어야 합니다. 저를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이 영양가 없는 이야기를 하면서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집에서 책 한 권 읽는 것이 더 효과적이지 않을까요. 그래서 어느 스님의 말대로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 같습니다.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