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본관에 투사된 강이연 교수팀 작품 이미지. 유니테 다비타시옹:테크노스피어 XD lab 2024. KAIST 제공 |
KAIST는 2일부터 사흘간 대전 본원에서 제2차 국제 인류세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인류세를 투사하기: 다학문적 접근'을 주제로 인류세에 대한 토론과 미디어 아트 특별전으로 이뤄진다.
인류세는 산업 발전에 따라 인간의 활동이 지구를 빠른 속도와 거대한 규모로 변화하고 있어 이를 지질학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과학계의 제안이다. 국제지질과학연맹은 논의 끝에 2024년 3월 인류세 도입을 기각했지만 관련 용어와 개념에 대한 논의는 이어지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 개막식에선 인류세 연구의 국제적 석학들의 기조 강연이 진행된다. 국제 연구단체인 '인류세실무단'의 유일한 한국인 위원인 박범순 KAIST 인류세연구센터장은 학문 간 경계를 넘나드는 것이 인류세 연구에 필수적인 이유와 이를 위해 필요한 방법론에 대해 발표한다.
마틴 헤드 캐나다 브록대 교수는 인류세의 시작점을 20세기 중반으로 설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대가속'(Great Acceleration)의 개념을 다시 짚는다. 또 인류세 개념을 공식적인 지질연대표에 넣자는 과학자들의 제안을 지질학계가 기각했던 최근 이슈에 대해서도 설명할 예정이다.
위르겐 렌 독일 막스플랑크 지구인류학 연구소장은 인류세 개념에 대한 과학계의 결정이 인류의 자기 성찰과 지구 시스템에 대한 책임의 문제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논의한다.
개막식 후엔 심포지엄 주제를 미디어 아트로 접하는 특별전이 열린다. 강이연 KAIST 산업디자인학과 교수팀은 본관 벽면에 인류세의 모습과 인류가 지구에 가하는 행위를 미디어 아트로 표현한다. 영상과 배경음악은 인류세가 촉발한 난제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연구와 정책뿐 아니라 예술적이고 창의적인 힘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심포지엄 이튿날에는 지구과학, 생물학, 전기공학, 모빌리티 연구, 인문학, 사회과학, 산업디자인, 뉴미디어 아트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발표 세션이 진행된다. 이를 통해 인류세를 감지하고 그 안에서 살아가기 위한 해법을 함께 모색할 예정이다.
마지막 날 열리는 비공개 워크숍에선 예술 분야와 기술 분야의 창의적 협업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이번 심포지엄을 총괄한 박범순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인류세연구센터장)는 "인류세를 새로운 지질시대로 공인하자는 제안은 기각됐지만 학계에선 이 기념이 앞으로 여러 학문 분야와 예술 활동, 정책 개발에 중요하게 사용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지금은 인류세 연구가 새로운 단계로 진입한 시점으로 KAIST는 앞으로 활발한 국제협력을 통해 인류세 개념을 더욱 정밀하게 정의하고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한 연구를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