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행정수도 완성이나 균형 측면을 목적의식적으로 강조한 건 이런 기조 때문이기도 했다. 창간 이듬해인 1952년 시·읍·면 의회 의원 및 도의회 의원 선출로 시작된 지방자치의 발전 국면에서 중도일보는 몫을 다해 냈다. 군사정권에 의해 중단되고도 내년 지방자치 30주년으로 나이테가 두꺼워진다. 이제는 차원을 달리해 충청권 메가시티란 큰 강으로 합류할 단계다. 5년 공들인 동남권(부울경) 메가시티의 와해, 최근의 대구와 경북 행정통합 무산 공식화는 방향성이나 지역민 공감의 폭에 대한 시사점을 준다. 수도권 집중을 막을 좋은 대안도 설익은 추진 끝에는 급반전을 맞을 수 있다.
'일류 경제도시 대전', '세종이 미래다', '힘쎈 충남', '충북을 새롭게, 도민을 신나게' 등의 구호를 내건 충청권은 제2수도권을 향해서도 다시 도약 선상에 있다. 지역경제와 산업·일자리 기반의 위축, 고령화와 인구구조 변화, 지방재정 위기 등에 공동 대응해야 한다. 지역개발의 현대적 변용은 상생이 더해진 조화로운 균형발전이다. 개발은 파괴가 아닌 창조다. 지역 어느 곳도 인프라가 취약한 생활사막(Life desert)이 없게 할 것이다. 총인구가 정점을 찍고 데드크로스 현상이 고착되는 지역소멸을 못 막으면 다음 순서는 바로 국가소멸이다.
우리의 새로운 지향점과 승부처가 여기에 있다. 2016년부터 나란히 발행 중인 중도일보 전국판(전국지)을 포함해 지역 뉴스를 특화할 차비도 마쳤다. 수도권과 영남권, 호남권 등으로 뻗어가는 중도일보는 공통의제 개발과 지역 간 소통 및 공공선 구현을 주도하는 '대한민국의 중도(中都)'를 자임한다. 오늘 그 '개발'에 '닫혀 있는 것(velop)을 풀어 펼친다(de-velop)'는 의미를 더 보탠다. 인공지능(AI) 시대에도 대체불가의 중도일보 브랜드 가치와 긍정적인 역동성으로 대한민국의, 전국과 지역의 성장사를 함께 쓸 것을 다짐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