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계는 예산안 증액에 대해 일단 환영하는 입장이나 올해 예산 삭감과 함께 진행된 R&D 구조 변화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이번 예산 증액도 대형 연구사업을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신진 연구자들이 혜택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예산 삭감으로 일자리를 잃은 대학원생이나 박사후 연구원 등 피해를 본 '연구현장 약자'들에 대한 구제 방안도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과학기술 정책의 신뢰성을 회복하는 것은 당면한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계는 R&D 예산 복원에 안도하면서도 일관되지 않은 예산 정책이 빚은 여파가 한동안 계속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올해 R&D 예산 삭감의 원인으로 지적된 '과기계 카르텔'의 실체는 무엇인지, 연구개발비 증액과 감액의 기준이 무엇인지 연구현장의 의문은 여전하다. 정부 정책 방향이 안정적인 연구환경 조성에 맞춰져야 한다는 목소리다.
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한국이 지금의 번영을 누리는 것은 땀으로 쌓은 과학기술의 발전에 기반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밝힌 국내 과학 인재 유출은 심각한 수준이다. 연구성과에 대한 과도한 집착이 혁신의 싹을 마르게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예산 삭감 파동을 겪으며 바닥 수준으로 자존감이 떨어진 과학기술인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시급한 정부의 책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