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주엽 차장 |
대중교통은 '가격 대비 성능', 이른바 '가성비' 외에도 '시간 대비 성능'을 따지는 '시성비' 측면에서도 우수하다. 무엇보다 혼잡한 출퇴근 시간대 목적지까지 정시에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유일한 교통수단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지하철은 물론, 정체가 거의 없는 버스전용차로와 BRT(간선급행버스체계) 덕분이다. 실제 서울시 교통정보센터(Topis)와 한국도로공사가 제공하는 자료를 분석해보면, 승용차로 강변북로나 올림픽대로를 통과할 때 소요 시간은 보통 20~30분, 출퇴근 시간대가 되면 1시간~1시간 30분으로 늘어났다. 분초(分秒)를 다투며 치열하게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어쩌면 돈보다도 귀중한 '시간'이라는 자원의 낭비다.
아울러 대중교통은 탄소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기후변화 대응에도 일조하고 있다. 1㎞를 이동할 때 승용차가 뿜어내는 탄소는 210g인데 반해, 버스의 경우 27.7g 정도다. 좌석과 입석을 포함해 일반버스 1대당 약 50인에서 56인까지 수송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 효과는 훨씬 커진다. 이를 잘 보여주는 사례가 독일에서 2022년 6월부터 8월까지 실험적으로 시행한 '9유로 티켓' 이벤트다. 9유로만 지불하면 국내 모든 대중교통 서비스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 이 서비스는 3개월간 대중교통 이용률을 무려 25%나 끌어올렸다. 이를 통해 탄소 배출량은 180만 톤 감소했고 대기오염은 6% 줄었다. 자차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마다 지구온난화를 막는 일에 동참하고 있다고 자부해도 좋은 이유다.
이처럼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대중교통은 근래 A.I.와 같은 최첨단 기술과 결합되어 똑똑함까지 더해가고 있다. 수요응답형 버스, 자율주행 버스, Maas(서비스형 모빌리티) 등 이제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문화·복지 등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로도 진화하는 중이다.
세종시 일원에 건설 중인 '행복도시'는 도시구상 단계부터 차량 통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된 우리나라 대표 대중교통 친화도시다. 도넛 모양의 환상형 대중교통 중심축을 따라 도시기능과 생활권이 배치되어 BRT를 통해 도심 어디든지 20분이면 접근할 수 있다. 또 생활권 중심지와 거주지는 자전거나 도보, 공유 모빌리티 등 저렴하고 환경친화적인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쉽게 이동이 가능하다.
행복도시의 핵심 교통수단인 BRT는 전용차로 및 입체교차로 등을 통해 정시성과 신속성을 확보하여 '땅 위의 지하철'이라 불린다. 나아가 스크린도어, 냉·온열의자, 초정밀 버스위치 안내, 무료 WiFi 등이 설치된 첨단정류장과 대용량 전기굴절버스 등 고급화된 서비스로 2022년 미국 국제교통개발정책연구원(ITDP)으로부터 국내서 가장 높은 Silver등급을 획득하며 우수성을 입증받았다. 이용객도 꾸준히 증가하여 작년에는 연간 이용객이 천만 명을 넘어서는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이러한 가운데 오는 9월, 월 2만 원 정액권을 끊으면 최대 5만 원까지 이용할 수 있는 세종시의 '이응패스'가 시행을 앞두고 있다. 여기에 세종~대전~청주~공주를 아우르는 '행복도시권 광역 통합환승할인'도 올해 실시될 예정이다. 고물가·고유가 시대 'K-패스'와 함께 시민들의 교통비 부담 완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행복도시는 앞으로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제2 집무실이 들어서며 '실질적 행정수도'로서 대한민국을 상징하게 될 것이다. 그 위상에 걸맞게 대중교통체계를 구축·발전시켜 가성비와 시성비는 물론, 탄소중립에 앞장서는 글로벌 모범도시로 자리매김해 나가겠다.
/강주엽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