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3개 부처 업무협약으로 인재양성-취업·창업-연구개발-정주에 걸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라이즈·RISE)의 방향성은 비로소 실체를 보여준 느낌이다. 지역산업활력펀드 연계 맞춤형 인재양성(CUBE), 지역앵커기업-지역대학 전략기술 공동개발(M&LS) 역시 주요 전략이다. 이 같은 동태적 진화발전 시스템에 잘 동화할 필요가 있다.
지난해 지정된 충청 각 지역 라이즈 계획과의 연계, 지역 라이즈 센터와의 협업 등의 계통도는 다분히 생소하고 아직은 모호하다. 가치사슬 분화와 상호 의존성 증대, 인력 양성과 선도형 R&D 연계성 강화에서 협업이 기본이다. 기술 개발, 산업기술 인프라 조성, 지원서비스는 기업과 밀도 있게 협력해야 한다.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수소, 인공지능(AI) 등 중핵업종 중심의 지·산·학·연 역할 분담은 더 진지해야 할 숙제로 남는다.
이 대목에서 꼭 챙길 것은 지방소멸을 막고 지역균형발전을 꾀한다는 소명감이다. 지역혁신중심 대학혁신체계인 라이즈, 교육발전특구, 비수도권 대학 30곳 대상의 글로컬대학30 등과도 궤를 같이해야 함은 물론이다. 다음 달로 예고된 대학과 출연연구소 간 벽허물기에선 각 주체가 공감할 예측 가능한 방안이 나와야 할 것이다. 지역 공통의 가치와 시너지를 만들 메가시티와 연계되도록 기획하는 문제도 있다. 기존 정책의 단순한 확장판이 지역발전 생태계는 아니다. 다부처 협업, 라이즈를 통한 대학과 지자체의 역할 강화도 결국은 지역 주도성으로 전환할 과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