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3년 1월 운영을 시작한 특구협력사무소가 상반기를 끝으로 1년 반 만에 철수했다.
대전시는 대덕특구 출범 50주년이었던 지난해 특구 구성원과의 소통과 협력 과제 발굴 등을 위해 제도를 신설했다. 대전과학산업진흥원(DISTEP) 내 공간을 두고 5급 사무관(특구협력담당관)과 실무자 2명을 배치했다.
출범 당시 대전시는 특구협력사무소를 통해 대덕특구와의 소통 총괄, 출연연과의 협업 과제 발굴, 출연연 개방 등을 위한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었다. 실제 사무소는 2023년부터 출연연 주말 개방 등 성과를 만들었다.
그동안 대덕특구 내 과학기술계에선 대전시와의 지속적인 소통 창구를 요구했다. 같은 대전에 있으면서도 '섬'처럼 인식되던 대덕특구와의 물리적 화학적 한계의 배경에 늘 소통 부족이 깔려 있었다. 특구협력사무소 출범에 큰 기대를 걸었던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러나 1년 반 만에 사무소가 사라지게 되면서 대전시의 소통 의지가 후퇴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한 대덕특구 구성원은 "특구를 이해하고 관계를 맺고 일을 좀 할 때쯤이면 업무 담당자가 바뀌는 패턴이 반복됐다"며 "적은 인력이지만 대덕특구 내 대전시 직원이 상주하면서 업무를 한다는 것이 의미 있는 것이다. 한시적으로 만들긴 했지만 바로 없어져서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번 조직개편으로 사무소가 사라지면서 특구협력담당관을 맡았던 사무관의 업무도 변경됐다. 출연연 개방 등 업무는 과학협력과로 흡수됐다.
대전시는 특구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제도를 운영했지만 대전시 내부 소통이 어려워지고 조직개편에 따라 인력 재배치가 불가피했다는 설명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특구에 나가 있다고 협력이 더 잘 되는 건 아니고 시청 본청에서도 얼마든지 할 수 있는 것들이 있다"며 "공간이 분리되면 대전시 내부망이 연결이 안 되고 본청에 올 때도 출장을 달고 오는 등 번거로움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구와의 소통을 소홀히 생각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라며 "물리적인 공간이 대전시청이나 DISTEP이나 특구랑 가까운 건 똑같다. 장소적인 개념은 의미가 없다고 판단해 조직한 것"이라며 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