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삼계탕만 보양식인가 뭐?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삼계탕만 보양식인가 뭐?

  • 승인 2024-08-21 09:55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40821_095329865
대학 2학년과 4학년 때 학교 기숙사 생활을 했었다. 학기마다 제비뽑기로 방 배정을 받는데 방을 누구와 쓰느냐가 중요했다. 성격이 안 맞아 중간에 나가기도 하니까. 2학년 1학기는 정치사회적으론 격동기였으나 개인적으론 '화양연화'였다. 방 식구는 선배였는데 편하고 또 개인 과외를 하느라 10시 점호 직전에 들어왔다. 그러니 내 세상이었다. 당시 전두환 정권은 과외를 전면 금지했지만 돈 있는 집은 암암리에 다 하던 시절이었다. 마음이 편해서인지 자면서 꿈 한 번 안 꿨다. 1980년대 중반이니까 기숙사는 연탄을 때는 열악한 시설이었지만 가족같은 분위기였다. 코딱지만한 방에서 기숙사 친구들과 맛동산과 웨하스를 먹으며 누가 누구랑 사귄다는 둥 수다떠는 재미로 하루하루가 요순시대였다.

기숙사 건물 1층엔 '유노'라는 분식집이 있었다. 대개는 구내식당을 이용했는데 종종 이 곳에서 비빔밥이나 수제비를 먹었다. 가격도 저렴했지만 수제비 맛이 끝내줬다. 찰떡처럼 쫀득쫀득한 식감. 냉면그릇만한 플라스틱 대접에 한 가득 담아주는 인심도 한몫 했다. 고춧가루 양념장을 풀어 바삭한 김을 뿌셔넣은 얼큰한 국물을 지금도 생각하면 침이 고인다. 먹어도 먹어도 질리지 않는 수제비였다. 내가 팔아준 수제비로 주인은 건물 한 채는 사지 않았을까? 당시 우리 학교 구내식당 밥은 타 대학에도 소문 나 일부러 먹으러 오는 학생이 있을 정도였다. 늦게 가면 음식이 떨어져 입맛만 다시고 나와야 했다. 그런데 다음해 학교에서 외부 업체에 용역을 줘 음식 질이 형편없는데다 가격도 올라 파리만 날렸다.

서론이 길었다. 악쓰고 울어대는 매미소리와 염천으로 이글거리는 휴일 한낮에 수제비를 해먹었다. 먼저 고추장과 된장은 1대 5로 물에 푼다. 푹푹 끓으면 털이 보송보송한 까슬한 호박잎을 썬다. 갓난아기 살처럼 야들야들한 둥근 애호박은 손으로 쥐어뜯어 호박잎과 함께 펄펄 끓는 국물에 넣는다. 이 수제비의 포인트는 청양고추. 쫑쫑 다지듯이 넉넉하게 썰어 넣는 것. 스뎅 볼에 밀가루와 물을 넣어 적당히 섞는다. 이 '적당히'란 단어가 적확하다. 물수제비란 말씀! 한손을 수저로 반죽을 떠서 다른 손 수저로 떼어 넣으면서 간간이 잘 익도록 휘젓는다.

이 장수제비는 엄마가 해주던 별미였다. 엄마는 손으로 물컹물컹한 반죽을 한참을 꾹꾹 주물렀다. 그걸 오랜 세월 사용해 가운데가 파인 수제비용 나무도마에 쭉 펴서 칼로 뚝뚝 잘라 넣었다. 매콤하고 구수한 장수제비. 마당에 멍석을 깔고 온 식구가 두리반에 둘러앉아 뜨끈한 수제비를 먹던 추억이 떠오른다. 땀을 뻘뻘 흘리며 먹는 수제비는 보양식이 따로 없었다. 우리 식구는 여름이 오면 으레 엄마가 해주는 수제비로 뜨거운 한 철을 견뎠다.

30대에 대사동 오래된 다세대주택에 살 적에 옆집에 고등학교를 갓 졸업하고 대학병원 약제실에서 근무하던 아이가 있었다. 김천에서 왔다는데 붙임성 있고 밝았다. 하루는 퇴근하고 저녁에 장수제비를 하는데 지나가다 열린 문틈으로 아는 체를 했다. 수제비 끓이는데 같이 먹자고 하니 좋아라 했다. 키우던 강아지도 데리고 와서 순식간에 방안이 시끌벅적했다. 강아지도 주인을 닮아 쾌활했다. 여기저기 들쑤시고 냄새 맡고 난리였다. 그 해 겨울, 아이는 직장을 그만 둔다고 했다. 고졸 임시직이라 비전이 없다면서 전문대라도 나와야 할 것 같다고. 학위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회의 비정함을 뼈저리게 느꼈을 터. 그리고 하는 말. "언니, 여름에 해준 수제비 너무 맛있었어요. 자꾸 생각나서 또 해달라고 할까 그랬다니까요." 그러고 그 애는 바로 이사 갔다. 시인 박인환은 '사랑은 가도 옛날은 남는 것'이라고 했다. 수제비를 먹으면서 떠난 이들을 생각했다. 이젠 추억을 먹고사는 나이가 됐다.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29일 대전 유성구 일대 정전…엘리베이터 갇힘 등 신고 24건
  3.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4. 중진공 충남청창사 15기 입교 오리엔테이션 개최
  5.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미공개 친필자료 담은 전자책 발간
  1. 천안문화재단, 천안예술의전당 전시실 대관 공모 신청 접수
  2. 천안고용노동청, 청년 취업지원 활성화를 위해 10개 대학과 업무협약
  3. 천안시도서관본부, '제61회 도서관 주간' 맞아 다채로운 행사 풍성
  4.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5.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헤드라인 뉴스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2023년 대형산불 발생에 대전과 충남 홍성에서 2년째 복구작업 중으로 이들 지역 산림 복구비용만 총 108억 원가량 투입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많은 복구비뿐 아니라 불에 탄 산림과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만 20년 이상이 걸리지만, 최근 10년간 충청권에서 발생한 산불 원인은 입산자의 부주의로 인한 '실화'가 가장 많았다. 30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2023년 4월 대전 서구 산직동 산불로 당시 축구장 약 800개 면적과 맞먹는 646㏊의 숲이 불에 탔다. 나무를 심어 숲을 복원하는 조림 등 인공복구가 필요한 37㏊에 대해 대전시와..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대전에 본사를 두기로 대전시와 협약을 맺은 한국소호은행(KSB)이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하면서 '대전에 본사를 둔 기업금융 중심 은행 설립'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금융위원회는 지난 25~26일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한 4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심사에 착수한다. 민간 외부평가위원회 심사를 비롯해 금융감독원의 심사를 거쳐 오는 6월 중 인터넷은행의 예비인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인가전에 뛰어든 곳은 '한국소호은행'을 비롯해 '소소뱅크', '포도뱅크', 'AM..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 1일부터 우유와 맥주, 라면, 버거 등의 가격이 동시에 인상된다. 올해 이미 커피와 과자, 아이스크림 등이 오른 상태에서 다수 품목이 연이어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3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4월부터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맥주와 라면 등의 가격이 줄인상 된다. 우선 편의점에서는 4월 1일 오비맥주와 오뚜기 라면·카레, CJ제일제당 비비고 만두,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남양유업 음료, 롯데웰푸드 소시지 등의 가격이 오른다. 가정용 시장의 40% 이상을 차지한 오비맥주 카스는 병과 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

  •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