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과 사회 : 소셜아트》(2013)의 특기할 지점은 실제 예술적 실천을 이어오고 있는 다양한 공동체들을 전시 안으로 끌어들여 보다 직접적인 대안을 마련하고자 했다는 것이다. 전시의 세 번째 섹션 「공동체예술 : 상호부조 협동 공존 장소 특정성」에서는 공동체의 가치를 지향하고 상호부조와 협업, 협동, 공존, 배려의 가치에 주목했다. 길종상가, 쌈지농부, 리트머스, 청주예술상회 등 20명(팀)이 참여, 각각 물리적 공간 기반의 가시적 공동체의 구성원들과 동행하는 예술을 화두로 삼았다. 특히 서울 이태원(길종상가), 안산 원곡동 이주노동자 거리(리트머스), 수원 원도심(무늬만 커뮤니티), 대전 중촌동 대전교도서 인근(반야지), 안양 석수시장(스톤앤워터), 인천 배다리마을(스페이스 빔), 청주 원도심(청주예술상회) 등 도시 공간에서의 공동체 예술 활동을 아카이빙해 시공간을 초월하는 가치와 의미를 생산하고자 했다. 마지막 섹션 「공공예술 : 상호작용 공유 주문생산」은 20세기 예술 제도의 관행과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서의 '공공예술'을 조명했다. 경기문화재단, 감천동문화마을프로젝트, 낙산 프로젝트 등 2000년대 이후 국내 공공예술 중 주요하게 다루어질 활동을 아카이빙해 예술적 자율성을 전제로 하되 사회적 요청과 조화를 이루는데 그 의의가 있음을 강조했다. 《사진과 사회 : 소셜아트》는 '사회'를 단순 피사체가 아닌 사회 속에 뛰어드는 사진예술의 태도와 방법은 비판적 성찰과 참여, 개입, 동행, 공존의 관점에서 조망했다는 것이 유의미하게 남았다.
/우리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