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값이 금값, 대전 소매가 7000원 넘었다... 채솟값도 고공행진 추석상 어쩌나

  • 경제/과학
  • 유통/쇼핑

배추값이 금값, 대전 소매가 7000원 넘었다... 채솟값도 고공행진 추석상 어쩌나

배추 1포기당 가격 7077원… 지난해보다 20.5% 상승
시금치는 닷새만에 75.5% 급등... 무도 20%가량 올라
폭염 따른 생육 부진과 출하량 감소 주원인으로 지목

  • 승인 2024-08-20 17:03
  • 신문게재 2024-08-21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장바구니
출하량 감소와 폭염에 따른 생육 부진으로 대전 배추 소매가격이 한 포기에 7000원을 넘어섰다. 배춧값이 금값이라는 우스갯소리도 나오는 상황인데, 이상기후에 따라 채솟값이 급등하면서 추석 밥상물가까지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에 주부들의 부담이 커진다.

2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19일 기준 배추 평균 소매가격은 포기당 7077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배추 가격은 8월 1일까지만 하더라도 4910원으로 5000원 아래에서 가격을 형성하고 있었지만, 5일 5243원으로 올라선 뒤 8일 6995원으로 치솟았다. 그러다 16일 7160원으로 7000원을 돌파한 뒤 현재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비싼 가격을 유지 중이다. 한 달 전과 비교하면 4828원으로 오름폭만 46.58%다. 1년 전(5895원)보다는 20.5% 올랐다. 평년(5699원)보다는 24.18% 각각 인상된 수치다. 평년 가격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이다. 배추 가격이 갑작스레 오른 데는 출하량 감소가 컸다. 2023년보다 여름 배추 재배 면적이 줄어들어 농가에서 추석 수요를 고려해 8월 말부터 9월 여름 배추를 수확할 수 있도록 심는 시기를 늦췄다. 물량이 줄어들자 가격이 오른 것이다. 여기에 폭염이 이어지면서 일부 지역에선 생육 부진 현상까지 겪고 있다. 이러다 보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시금치 100g당 가격 역시 껑충 뛰었다. 대전 시금치 평균 소매가는 19일 기준 4370원으로, 불과 5일 전인 14일 2490원에서 75.5%나 급등했다. 시금치 가격은 한 달 전(1513원)보다 188.83%나 치솟았고, 1년 전(2047원)보다는 113.48% 올랐다. 평년 가격(2121원)보다는 106.03% 상승한 수치다. 평균 2000원대를 보이던 시금치 가격은 16일 들어 3020원으로 오르더니 19일 4000원대를 넘어서며 가격 상승이 지속적이다.

무 대전 소매가도 소폭 인상된 것으로 집계됐다. 대전 무 1개 소매가는 3677원으로, 한 달 전(3000원)보다 22.5% 올랐다. 1년 전 소매가는 2899원으로, 현재와 비교하면 26.84% 올랐고, 평년 가격으로는 2523원으로 현재와의 차이는 45.74%다. 시금치와 무 가격도 폭우로 인한 일조량 부족과 폭염에 따른 생육 부진으로 출하량이 감소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채솟값이 급격하게 오르면서 지역 주부들은 올 추석 물가 상승에 걱정이 크다. 올 추석은 9월 17일로, 2023년 추석보다 2주가량 이르기 때문이다. 현재와 같이 가격이 오른 상황에서 추석상을 차리려면, 예년보다 비용이 크게 든다. 여기에 출하량 부족으로 수요 대비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더 오를 가능성도 있다.



주부 김 모(48) 씨는 "가뜩이나 물가가 많이 올랐는데, 장을 보다 보면 장바구니 가격이 너무 올라 주머니 사정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며 "다가오는 추석에 친척들을 대접하려면 전보다 더 큰 비용이 들 것 같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29일 대전 유성구 일대 정전…엘리베이터 갇힘 등 신고 24건
  3.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4. 중진공 충남청창사 15기 입교 오리엔테이션 개최
  5.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미공개 친필자료 담은 전자책 발간
  1. 천안문화재단, 천안예술의전당 전시실 대관 공모 신청 접수
  2. 천안고용노동청, 청년 취업지원 활성화를 위해 10개 대학과 업무협약
  3. 천안시도서관본부, '제61회 도서관 주간' 맞아 다채로운 행사 풍성
  4.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5.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헤드라인 뉴스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2023년 대형산불 발생에 대전과 충남 홍성에서 2년째 복구작업 중으로 이들 지역 산림 복구비용만 총 108억 원가량 투입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많은 복구비뿐 아니라 불에 탄 산림과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만 20년 이상이 걸리지만, 최근 10년간 충청권에서 발생한 산불 원인은 입산자의 부주의로 인한 '실화'가 가장 많았다. 30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2023년 4월 대전 서구 산직동 산불로 당시 축구장 약 800개 면적과 맞먹는 646㏊의 숲이 불에 탔다. 나무를 심어 숲을 복원하는 조림 등 인공복구가 필요한 37㏊에 대해 대전시와..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대전에 본사를 두기로 대전시와 협약을 맺은 한국소호은행(KSB)이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하면서 '대전에 본사를 둔 기업금융 중심 은행 설립'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금융위원회는 지난 25~26일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한 4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심사에 착수한다. 민간 외부평가위원회 심사를 비롯해 금융감독원의 심사를 거쳐 오는 6월 중 인터넷은행의 예비인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인가전에 뛰어든 곳은 '한국소호은행'을 비롯해 '소소뱅크', '포도뱅크', 'AM..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 1일부터 우유와 맥주, 라면, 버거 등의 가격이 동시에 인상된다. 올해 이미 커피와 과자, 아이스크림 등이 오른 상태에서 다수 품목이 연이어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3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4월부터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맥주와 라면 등의 가격이 줄인상 된다. 우선 편의점에서는 4월 1일 오비맥주와 오뚜기 라면·카레, CJ제일제당 비비고 만두,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남양유업 음료, 롯데웰푸드 소시지 등의 가격이 오른다. 가정용 시장의 40% 이상을 차지한 오비맥주 카스는 병과 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

  •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