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성 충남대 교수 |
AI 활용 능력이라고 해서 거창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사실 몇 번만 사용해보면 누구나 쉽게 다룰 수 있는 서비스들이 대부분이다. 스마트폰을 처음 사용할 때를 떠올려보면, 금방 익숙해졌던 것처럼 AI도 마찬가지다. 엑셀을 배우는 것보다도 훨씬 더 쉬운 것이 AI 기술이다. 이제는 누구나 AI로 데이터를 분석해 글을 쓰고, 멋진 프레젠테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스마트폰 사진 보정 앱을 사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은 것처럼, AI도 사용자에게 쉽고 직관적으로 다가오고 있다.
그러나 AI의 퍼포먼스는 단순히 쉽다는 것을 넘어 커다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챗GPT와 같은 AI 도구는 간단한 입력만으로도 놀라운 결과를 제공한다. 몇 시간, 며칠이 걸려도 만들기 힘든 콘텐츠를 몇 분 만에 만들어낼 수 있고, 비전문가도 전문가 수준의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정말 대단하지 않은가?
하지만 더 놀라운 것은 이렇게 강력한 AI 도구를 제대로 사용하는 사람이 아직도 많지 않다는 사실이다. 강연장에서 AI 활용에 대해 물어보면, 대부분이 챗GPT와 같은 AI를 사용해본 경험이 있다고 답한다. 하지만 잘 쓸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다들 대답을 주저한다.
이제 AI를 잘 다루는 사람이 진정한 능력자로 평가받는 시대가 됐다. 많은 사람들이 챗GPT와 같은 AI 도구를 활용해 수많은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이런 도구를 잘 활용하면 업무 효율이 최소 몇 배는 증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I를 제대로 활용하는 사람은 여전히 드물다. 챗GPT를 몇 번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 대부분이고,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사람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조사에 따르면, 자사의 생성형 AI 앱인 '코파일럿'을 사용한 사용자들 중 70%가 생산성이 높아졌다고 답했고, 68%는 작업 품질이 향상됐다고 응답했다. 이는 AI가 업무 효율을 얼마나 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이제 'AI 디바이드'라는 새로운 흐름에 주목해야 한다. 디지털 디바이드가 디지털 기기 사용 능력의 격차를 의미했다면, AI 디바이드는 AI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 벌어지는 새로운 격차를 뜻한다. AI에 능숙한 사람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지만, 익숙치 않은 사람은 도태될 위험에 처할 것이다.
이러한 AI 디바이드는 사회 전반에 걸쳐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AI 기술의 활용 능력에 따라 개인의 생산성과 경쟁력이 달라지고, 이는 곧 기업의 성과, 지역 간, 국가 간 불균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AI 기술의 발전 속도가 가속화되면서 격차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직종별로 AI 활용 교육을 통해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각 직종의 특성에 맞춰 AI가 실제로 어떻게 업무에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AI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모든 세대와 계층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AI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AI 기술의 접근 장벽을 낮춰야 한다. 또한 AI를 우리 생활의 유용한 도구로 인식할 수 있도록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 이를 뒷받침할 정책 마련도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AI는 더 이상 미래의 기술이 아니라 지금 우리가 활용해야 할 현재의 도구다. AI 리터러시를 높이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며, AI 기술의 혜택을 모두가 공평하게 누릴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우리 모두의 지혜와 노력이 요구된다. AI가 인류의 발전과 행복에 기여하는 '모두를 위한 기술'이 될 수 있도록 지금부터 준비해야 할 때다. /김용성 충남대 사범대학 기술교육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