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한 대전과학산업진흥원장은 19일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특구) 기자단과 만나 2030년 대전의 상장기업이 현재 2배 수준인 112개까지 늘 것이라는 전망치를 밝혔다.
이 원장은 "1988년부터 현재까지 57개의 지역 기업이 상장했다"라며 "증가율은 연평균 11.9%로 6개 광역시 중 가장 높은데, 빠르게 늘고 있는 이 성장률의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2024년 상반기 3개 기업이 상장하고 6개 기업이 신규 상장을 추진하는 등 현재 추세로라면 대전의 상장기업은 매년 증가할 전망이다.
이 같은 수치는 대전과학산업진흥원(DISTEP) 이미애 디지털평가부 선임연구원, 박지은 연구원, 최재윤 디지털평가부장이 공동집필한 이슈페이퍼 '지역 상장기업 현황 분석 및 시사점-대전 및 5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편에 수록됐다.
대전의 첫 상장기업은 1988년에 탄생했다. 6개 광역시 중 가장 후발 주자로 1968년 상장기업을 낳은 인천보단 무려 20년이나 늦었다. 이후 대전은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연평균 두 자릿수인 11.9%의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대전은 기업당 평균 상장 기간이 13.2년으로 6개 광역시 중 가장 짧다. 절대적인 상장 기업 수는 인천이 93개, 부산 82개, 대구 56개, 울산 29개, 광주 20개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의 상장기업은 시가총액과 상장기업 1개당 당기순이익 등이 인천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대전 상장기업 1개당 시가총액은 7577억 원, 당기순이익은 218억 원이다. 투자가치 측면에서 타 지역보다 우수한 수준을 나타내는데 재무제표 중 자기자본이익률(ROE)이 5.9로 가장 높다.
다만 상장기업의 매출 성과는 타 광역시보다 뒤처진다. 2024년 5월 기준 기업 1개당 매출액은 4337억 원이며 연평균 증가율은 6.9% 수준으로 광역시 중 4번째 수준이다. 울산 기업 1개당 매출액이 1조 3442억 원, 연평균 증가율이 21.4%인 데 비하면 저조한 수치다. 대구 기업 매출액 1조 2645억 원, 연평균 증가율 9.1%과 비교해도 큰 차이를 보인다.
이 같은 이유는 대전 상장기업 57개 중 25개가 바이오기업으로 산업 특성상 매출액 변동이 큰 점이 반영됐다. 바이오기업을 제외하고 보면 매출액은 늘고 연평균 증가율은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난다.
기술 기반의 바이오기업이 많은 대전의 특성상 고용 규모도 타 지역보다 떨어진다. 대전 상장기업 전체 고용자 수 증가율은 3%로 인천, 울산, 대구의 뒤를 잇는다. 기업당 고용자 수 증가율은 -5.9%로 고용자 수 증가율이 광역시 중 가장 낮다.
집필진은 "대전 상장기업은 성장성과 안정성 측면에서 타 지역보다 우수한 수준이지만 지역 내 파급성 측면에선 다소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대전의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에 상장기업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 위해선 지역 내 파급성을 높일 수 있는 질적 성장에 초점을 맞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