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교육의 중요성 이미지. 사진=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갈무리. |
하지만 물건을 얼른 보내주고 싶은 조급한 마음으로 방문하다보니, 영어로 조카의 집 주소를 검색해서 쓰는 것이 생각보다 어려웠다. 차마 생각하지 못한 난관에 봉착 하다 보니 '한국과 일본은 한자 문화권인데, 왜 영어로 써야 하냐'며 궁시렁거리기도 했다.
그 때 옛날에 시집왔을 때, 아파트 경비실에 가서 경비 아저씨에게 한자 주소를 여쭤봤던 기억이 새록새록 났다. 한자로 내 이름도 알려드릴 수도 있어 정말 같은 언어권인 나라에 시집온 게 다행이라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경비 아저씨께서는 한국은 한자로 소통이 가능하니 부모님께 편지도 편히 보낼 수 있겠다고 하셨다. 지금은 안 계시지만 아주 반갑고도 소중한 인연이었다. 현재는 일본에서도 영어로 적어야 한다고 해서 조카가 영어로 기재해 발송해준다. "한자로 된다면 엄마도 할 수 있다"고 어머니가 뭐라고 하신다.
당연히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우리 모두가 배울 것은 배우고 받아들여야 한다고는 생각한다. 다만 한자는 하나의 문화다. 중국에서 한국으로, 한국에서 일본으로 온 3개국의 소중하고 귀중한 문화인데, 세계 공용어로 통용되는 영어가 일상에 더 많이 보여 착잡한 마음이 들기도 한다.
얼마 전에 뉴스에서 '우천시'의 뜻을 몰라 물어보는 학부모가 있다고 나왔었다. 한자어를 모르는 것이다. 요즘 식당이나 카페에서도 메뉴판이나 가게의 영업 시작 및 마감 안내판이 영어로 기재돼 있고, 인터넷 사이트에서도 한글 대신 영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글로벌 시대에 필수인 영어라지만, 우리의 문화와 함께 공존하기 위한 조금의 노력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드는 요즘이다.
세종=이즈미야마시가꼬 명예 기자(일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