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회 미협전》,1967 (이미지: 대전시립미술관 제공) |
황진국(1911~1969)은 대전에서 출생해 일본의 미술대학에서 공부했고, 제22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입선을 시작으로 작가로서 활동을 시작했다. 조치원중학교, 공주 봉황중학교, 공주농업학교에서 미술교사로 재직했고, 1958년 《녹청회》를 결성해 우리 지역 미술교육의 발전을 도모했고, 1950년대부터 작고하기까지 충남미술협회전에 꾸준히 참여하며 대전미술의 형성에 일익을 담당했다. 윤후근(1923~2008)은 전라북도 익산에서 출생하여 전주사범학교 심상과를 졸업하고 1949년 논산 강경상업고등학교의 미술교사로 부임해 작고할 때까지 대전·충남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1963년 한국미술협회 충남지부 부회장을 맡아 이동훈과 함께 대전미술 발전을 도모했으며, 김철호와 화우로 평생을 함께했다. 정택은(1925~2005)은 충청남도 예산 출생으로 경기공립상업학교와 경성옥정상업미술연구소, 그리고 국사과임시교원양성소를 수료하고 1948년 서천중학교 미술교사를 시작으로 1991년 정산중학교 교장으로 퇴임하기까지 1958년 《녹청회》 창립, 대전미술협회 사무국장, 교육연구원 등 제자양성과 미술교육에 힘썼으며, 판화보급과 색채표준 연구 등 대전미술이 새롭게 발전하는데 일익을 담당했다.
홍동식(1926~2003)은 충청북도 옥천에서 출생해 청주사범학교와 서울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1955년 대전여자중학교로 부임, 1992년 충남대학교 교수로 정년 퇴임할 때까지 교육자로, 그리고 색채연구자로 활동했다. 또 1973년 제3대 한국미술협회 대전시지회장을 역임했다. 임상묵은(1933~1998) 1933년 충청남도 연기에서 출생했다. 서울대학교 응용미술과를 졸업하고 1957년 대전보문고등학교 미술교사로 부임하며 대전지역에 도자예술 교육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종수(1935~2008) 대전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응용미술과를 졸업하고 본격으로 요업을 습득하기 위해 홍익대학교에서 요업디자인을 공부했다. 1964년 대전실업초급대학교 교수로 부임해 1979년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를 마지막으로 교단을 떠나 대전에 정착해 작고할 때까지 작품제작에 매진했다. 대전지역에 도자예술이 정착하고 발전하는데, 큰 일익을 담당했으며 한국도자예술이 진일보하는데 족적을 남기고 있다. 현재 대전시에서는 <이종수미술관> 건립해 예술세계를 널리 알리고자 준비 중이다.
이 밖에도 1960년 대전미술이 기반을 형성하고 발전하는데 일익을 담당했던 많은 작가가 있다. 계속해서 자료를 발굴하고 기록해 나가는 것은 대전미술사를 정립을 위한 소명 같은 연구사업이다.
/송미경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