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100인 대토론회 참석자들이 의미 있는 제안과 성과 도출을 위한 마음을 담아 손을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시교육청 제공. |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교육감 최교진, 이하 교육청)은 같은 달 26일 오후 2시부터 4시 30분까지 어진동 정부세종컨벤션센터 4층 대연회장에서 교육 공동체가 한데 모여 세종 교육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100인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교직원 63명과 학부모 7명, 학생 2명, 시민단체 10명, 시의원 6명 등이 함께 했다.
앞선 청소년 아고라 행사에 모인 초·중·고 학생 100여 명이 이번 논의의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했다. 학생들은 통학 안전성과 가정·학교 내 인격체 존중, 자신의 성장과 삶 맞춤형 교육 실현, 다양한 문화활동 경험, 미래 디지털 교육, 진로·진학 정보 제공 등에선 높은 점수를 준 반면, 학교 교육활동에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이 높았다.
10년 뒤 가장 필요한 교육으론 경제적 자유와 연관된 진로와 AI교육, 경제, 돈 버는 방법, 투자 사업, 재테크, 창업교육, 진로, 경제교육, 세계시민 교육 등에 집중됐다.
7월 23일 이어진 세종교육회의 제1차 연찬회 역시 현주소 진단과 미래 방향 설정에 힘을 보탰다. 교권 확립과 학교 공동체 회복 제안, 시교육청과 세종시 간 협력의 심화·확대 방안, 학습·생활·정서 등의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는 학생에 대한 통합 방안 등의 심도 있는 주제를 다뤘다.
세종교육 100인 대토론회는 3번째 공론의 장이자 사실상 미래 방향 설정의 마침표 성격으로 마련됐다. 시교육청은 이번 과정을 거쳐 수렴된 의견을 2025년 주요 업무계획에 담아낼 계획이다.
박란희(다정동) 시의원도 이 자리에 참석, 교육 주제와 관련한 다양한 의견을 주고 받았다. |
이번 대토론회 주제는 '세종시민의 참여로 만들어가는 세종 미래교육'. 2025년 세종시교육청의 주요 업무 발굴에 초점을 맞췄다. 좋은 제안에 대한 실행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다.
첫 순서는 그동안 분석해온 세종교육청 정책 발표(2년 용역 결과)에 이어 과거 대토론회 의견 반영 성과 등을 공유하는 시간으로 꾸며졌다. 참가자들은 현재의 정책 흐름을 한눈에 살펴보는 한편, 나의 의견이 세종교육을 바꾸는 작은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직시했다.
정재욱 미래기획관이 토론회 관련 사전 설문결과도 공유됐다. 7월 13일부터 21일까지 토론회 참가 신청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결과 48명이 응답했다. 세종교육 공감도는 10점 만점에 학생 중심의 학교 변화 노력에 7.1점을 줬고, 학교자치 실현과 미래교육 능동 대응엔 6.7점, 시민 참여 확대엔 6.6점을 각각 줬다.
세종교육이 집중해야할 교육 분야로는 민주시민교육이 64.6%로 가장 높았고, 참여자치를 위한 다양한 체험 교육(41.7%), 디지털 및 AI 교육(39.6%)과 인문학 교육(37.5%), 생태환경교육(31.3%)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사교육(27.1%)과 국영수 등 핵심 교과 교육(16.7%) 등을 선택한 이들도 많았다. 5대 정책방향별 관심도는 미래 교육환경과 학습권 보장 '교육복지', 교육 자치 및 교육행정, 교육 생태계 등의 순서로 집계됐다.
참가자들은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를 정해 토론에 임하며 실질적인 토론 결과 도출에 나섰다.
사전 설문결과 우리 아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미래 교육 1순위는 인성교육으로 모아졌다. 사진=시교육청 제공. |
첫번째 정책 목표는 다함께 성장하는 맞춤형 교육에 뒀다. 참가자들은 '미래 변화를 이끄는 힘, 세종 창의적 교육과정', '모두의 성장을 위한 책임교육', '진로역량을 키우는 맞춤 교육'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미래를 열어가는 교육환경 목표에선 교육의 질을 높이는 미래 교육환경과 학습자가 삶을 주도하는 세종 미래 교육, 연대하고 실천하는 시민교육이란 주제가 이슈의 중심에 섰다. 7월 30일 정부의 교육발전특구 지정을 계기로 천편일률적인 교육환경을 벗어나 세종형 교육을 실현할 과제를 모색했다.
학습권을 보장하는 교육복지 목표는 촘촘한 맞춤형 교육복지와 모두가 행복한 교육복지, 존중받는 교육활동 보장이란 3개 주제 토론으로 향했다. 학생의 희망 진로와 가정 여건, 개성에 맞는 교육 실현을 위한 과제들이 하나, 둘 언급됐다.
삶의 질을 높이는 교육생태계 정책 목표는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 실현과 존중과 배려의 학생생활 구현, 배움이 풍요로운 학습도시 세종이란 주제로 다각도의 의견 교환이 이뤄졌다. 5번째 정책 목표인 시민과 함께하는 교육자치 및 교육행정 영역에선 참여와 협력의 교육자치, 교육주체가 일궈가는 학교자치, 현장 중심 교육행정이 논의의 중심에 섰다.
교육복지 목표 실현을 위한 참가자들의 의견 개진. 사진=시교육청 제공. |
이중 아이들 갈등 관리 및 학부모 교육과 노동·인권·생태전환·양성평등·인문학 등 민주시민 교육 강화, 맞춤형 진로·진학교육 지원 강화, 관계중심 생활교육 강화, 교육회복과 기초학력 신장을 위한 맞춤교육 제공, 학교 내 갈등관리위 설치,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 전환교육 강화, AI 기반 교육 및 정보교육 활성화, 문제 행동 학생을 위한 교내 상시 지원팀 구성 등이 가장 높은 정책 선호도 점수를 기록했다.
본 행사에 참여한 한 참가자는 "세종교육에 대해 여러 사람들과 의미 있는 토론을 할 수 있고 다양한 의견을 나눌 수 있어 좋았다"라면서 "세종시민들이 제안한 내용들이 교육정책에 적극 반영되길 기대한다"라고 제안했다.
최교진 교육감은 "세종시민들의 지혜가 모인 이번 토론회가 세종교육의 나아갈 길을 제시하는 중요한 나침반이 되길 바란다. 앞으로도 끊임없는 소통을 통해 함께 만들어가는 세종교육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며 "이번 계기가 교육정책에 대한 이해도 향상과 상향식 정책 수립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아이와 어른의 시선에 비친 세종교육은 어떻게 다를까. 참가자들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
10모둠 참가자들이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