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화재는 열 폭주 현상 등으로 진압이 어렵다는 게 가장 골칫거리다. 탑재된 리튬이온배터리가 불붙으면 순식간에 800도에서 1000도까지 치솟는다. 가연성 가스도 진화를 더디게 한다. 대형 장비 반입 이전에 소방차 진입이 곤란한 지하 공간의 한계와도 맞싸워야 한다. 차량을 통째로 담글 대형 이동식 수조 설비를 써야 할 만큼 전기차 화재는 소방능력까지 시험한다. 폐쇄적 구조와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한 화재에는 대형 참사 가능성이 상존한다. 대안을 더 숙고해야 하는 이유다.
전기차 충전소를 옥외로 이전해도 지상 주차장을 없애 공원화하는 추세라는 점은 난제다. 도심지에선 70%를 점하는 아파트뿐 아니라 대규모 사업장이나 빌딩 등에서는 걷잡을 수 없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옥외나 별도 충전전용 건물을 갖춘다는 건 사실상 비현실적이다. 그래도 질식소화덮개나 이동식 수조 등 장비 확충이나 전기 케이블 위험 시설과의 이격 등 필요한 조치는 해야 한다. 전기차 주차를 반대하는 주민과의 갈등 소지를 차단할 방편 역시 안전장치 마련이다.
합동감식과는 별도로 금산 차량 화재가 특정 배터리 제품에 기인한 것인지 전기차 전반에 관한 것인지는 확실히 규명할 부분이다. 일반 차량보다 빈도는 적으나 일단 발생하면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할 정도의 대형 사고나 자연 재난 상황처럼 이어진다. 실정상 밀집 주차를 피하지는 못 한다.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를 신종 도시형 재난이란 경각심을 갖고 범정부적으로 대처할 일이다. 안전이 흔들리면 전기차 보급도 차질을 빚고 친환경도 허사가 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