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충남대병원 전경. 사진=중도일보 DB. |
수도권 초집중 원정 의료가 지방소멸 위기를 가속화하고 있는 국면에서 '인구 유입' 확대와 '세종시 정상 건설'의 숙제가 다시금 부각되는 배경이다.
8월 6일 세종시에 따르면 지역 의료 인프라는 2012년 세종시 출범과 함께 종합병원 부재 문제를 겪어오다 2019년 나성동 엔케이 세종병원에 이어 2020년 7월 도담동 세종충남대병원 개원과 함께 원정 의료 문제를 조금씩 해소해나갔다.
이후 인구 유입 확대와 함께 읍면동 생활권별 다양한 병·의원들도 속속 자리를 잡았다.
병원급으로 보면, 1생활권은 세종충남대병원을 중심으로 치과병원과 어린이병원, 2생활권에는 엔케이 세종병원을 거점으로 정형외과와 한방병원, 3생에는 한방병원 3곳, 4생에는 일반병원이 하나, 둘 포진했다. 조치원에는 요양병원 2곳과 시립 요양원, 의원 등이, 전동면에는 요양병원, 연서면에는 기독(정신)병원과 요양병원이 자리를 잡았다.
의원급 의료기관은 중심상업구역을 가진 나성동이 45곳으로 가장 많았고, 조치원읍이 40곳, 정부세종청사 인근의 어진동(20곳), 종촌동(18곳), 아름동(17곳), 다정동(12곳), 보람 및 새롬, 소담동(각 11곳), 고운동(9곳), 도담동(8곳)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장군면과 소정면, 집현동, 한솔동은 각 1곳으로 가장 적었다. 연기·연동·전동·연서면에는 의원이 1곳도 없었다.
한의원은 조치원읍(13곳)과 나성동(8곳), 보람·새롬·어진동(각 6곳), 소담·종촌(각 5곳), 고운·아름·반곡·다정·대평동(각 4곳) 등의 순으로 파악됐다. 면지역에선 부강·금남면(각 3곳), 전의면(2곳), 연서·연기면(각 1곳)에만 나타났다.
치과 역시 조치원(18곳)에 다수가 위치했고, 나성동(10곳)과 종촌·새롬동(각 8곳), 어진동(6곳), 소담·아름동(각 5곳), 반곡·대평·보람·고운·다정동(각 4곳) 등에서 치과 이용이 가능했다. 면지역에선 금남과 부강, 전의면이 각 2곳, 장군면이 1곳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현실 아래 충남대병원의 경영 악화는 세종충남대병원의 위기론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를 두고 지역사회는 '충남대병원의 자구 노력이 부족했다'는 평가부터 '대출 금리 인상 등 외부 여건 악화로 인한 어려움인 만큼, 공적 영역의 지원이 필요하다', '수도권 병원들이 세종시 진출을 주저할 때, 그래도 손을 내밀어준 의료기관'이란 인식으로 엇갈리고 있다.
시민사회의 한 관계자는 "세종충남대병원이 대전 본원의 분원 성격으로 세종시 진출을 노크할 때도, 건립비와 운영비 수급 문제가 거론됐던 게 사실"이라며 "정부와 지자체 등의 지원과 함께 충남대병원 내부 노력과 자성도 필요한 시점"이란 의견을 내비쳤다.
한편, 강준현 국회의원실과 세종시의회는 8월 6일 오후 5시 보람동 시의회 6층 회의실에서 '세종시민 의료서비스 확보 방안' 마련을 위한 긴급 간담회를 연다. 세종충남대병원이 8월부터 응급실 축소 운영에 돌입하는 등 세종시 필수 의료에 빨간불이 켜지면서다.
이 자리에는 보건복지부(김지연 공공의료과장)· 행복도시건설청(황윤언 도시성장촉진과장) 등 정부 관계자, 세종시(이영옥 보건복지국장) 및 충남대병원(이진선 기획조정실장), 세종응급의료지원센터(유승 센터장) 담당자들도 함께 배석, 중증과 응급, 소아 등 필수의료 시스템 위기 대응 방안에 머리를 맞댄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