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동아리 회장 A씨는 2021년 대학생들이 이용하는 SNS에 '동아리에 가입하면 고급 외제차·호텔 등을 무료나 저가로 이용할 수 있다'며 회원들을 끌어모았다. 단기간에 300명까지 동아리 몸집을 불린 A씨는 참여율이 높은 회원들과 장소를 옮겨가며 대마·필로폰 등 다양한 마약을 함께 투약했다고 한다. 검찰은 재판에 넘기거나 기소유예 처분된 사람 이외의 회원들에 대해서도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검찰은 동아리 결성 당시부터 마약 투약과 유통을 염두에 두지 않은 것으로 파악했지만 살펴볼 부분은 있다. 모임 등을 통한 마약범죄의 확산이다. 지난해 8월 서울 용산구 한 아파트에서 '집단 마약 모임'에 참석한 현직 경찰관이 추락사한 사건은 큰 충격이었다. 20여명이 참석한 집단 마약 모임은 경찰관 추락사를 수사하면서 전모가 드러났다. 수사망 접근이 어려운 모임을 통한 마약 투약이 단속의 '사각지대'가 될 우려가 큰 이유다.
마약범죄는 중독 등 투약으로 인한 해악뿐 아니라 구매비용을 마련하기 위한 각종 범죄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이번 사건은 마약이 예상보다 훨씬 더 빠르고 광범위하게 우리 사회를 잠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약 청정국이던 한국이 통제 불가능한 임계점을 걱정할 상황이 됐다. 마약범죄의 수법은 날로 진화하고 있다. 검찰·경찰·해경·관세청으로 나눠져 있는 마약 수사 체계를 '마약수사청' 설립으로 일원화하는 등 특단의 대책이 절실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