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숙 수필가 |
이 새끼 사자는 야생에 살면서 코끼리들에게 공격을 당해 목숨은 붙어 있었지만 온몸이 만신창이가 돼 있었습니다. 이미 척추가 부러진 상태에다 피투성이였고 야생에서 이렇게 다치게 되면 생존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문제는 새끼 사자가 결국 죽으면 썩는 시체 냄새에 천적들이 이 근방에 사자 가족들이 사는 것을 알고 다른 새끼 사자들까지도 공격을 당하게 될 것을 알기에 그나마 살아 있는 다른 새끼를 보호하기 위해서 할 수밖에 없었던 특단의 조치였던 것이지요.
어미 사자는 자기 자식을 죽여야 하는 슬픔 중에도 결국 다른 새끼들을 살려야 한다는 희망을 이어가기 위해서 아주 중요한 결단을 내리게 된 것입니다. 이 동영상을 통해 우리 인생 삶의 내면의 모습을 보게 됐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지금보다 더 나은 삶을 꿈꾸고 살아가기 위해 노력하지요. 그런데 살다보면 내가 노력하고 계획한 대로 되지 않는 상황을 수없이 만나게 됩니다.
그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감정적으로 그런 어려운 현실 앞에 슬퍼하고 또 분노하며 큰 좌절감에 빠질 수밖에 없지요. 그런데 꺼져가는 희망의 불씨를 그냥 놔두고는 안되는 것인데 "될대로 돼라"고 포기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반대로 어려운 슬픔과 좌절의 순간에도 어떻게하든지 꺼져가는 희망의 불씨를 꺼뜨리지 않으려고 몸부림치고 애쓰는 사람도 있습니다.
시작은 비슷하지만 나중에 보면 후자의 인생이 더 잘되고 행복을 이루어 가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어미 사자처럼 지금은 참척의 아픔으로 힘들지만 어떻게든 희망을 이어가려고 몸부림치고 다시 일어서 보려고 하는 사람이 돼야 하겠습니다. 그런데 요즘 세상은 이런 사람들보다는 "살면 사는 거고, 죽으면 죽는 거지"라고 체념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유명한 동화 가운데 안데르센의 '미운 오리 새끼'라는 동화는 세월이 지난 지금도 많은 사람이 좋아합니다. 안데르센이 활동할 당시에 그는 동료 작가들로부터 "근본도 없는 작가다" 라는 소리를 들었다 합니다. 그래서 미운 오리 새끼에 나오는 이야기가 자기를 표현한 작품이라고 합니다.
두 차례나 가출을 해야했던 미운 오리새끼는 강물에 비친 자신의 얼굴을 보고는 놀랍게도 아름다운 백조의 모습으로 변해있는 것을 발견하고 놀랐습니다. 그래서 그 백조는 다른 백조들과 함께 날개를 펴고 하늘을 날아다니며 행복한 삶을 살았답니다.
자신이 불우한 삶을 살았기에 더 많은 희망을 보여주려 했던 안데르센.
그의 동화 속의 이야기는 지금도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헬렌 켈러는 "세상에 기쁨만 있다면 우리는 담대함과 인내하는 법을 결코 배울 수 없을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마음의 상실은 작은 좌절에도 의욕을 잃고 스스로 무너지게 합니다.
사자는 결정의 선택이 왔을 때 자신의 새끼 한 마리를 잡아먹어야 한다는 선택을 했고, 미운 오리새끼는 형제들로부터 외면을 당했을 때 포기하지 않는 삶을 살다가 자신의 훌륭한 점을 발견했던 것입니다. 이처럼 우리의 삶은 '선택'이 선행 돼야 한다는 점입니다. 물론 필수는 아닙니다. 환경에 따라 선택돼서 세월의 흐름으로 발전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을 비롯해 生을 받은 동물들의 뇌에는 '신경가소성'이 있다 하는데 무엇이든 반복하면 그것을 강화시킨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부정적인 생각을 반복하면 그 생각이 강화되고, 긍정적인 생각을 반복하면 그 생각이 강화된다고 합니다.
힘든 일이 있을 때 포기하지 말고 희망적인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어미 사자가 희망을 위해 포기하지 않았던 선택, 또한, 다르다는 이유로 가족들로부터 소외당하고 다른 새들과 동물들에게도 거절 당하지만 마침내 어미 백조가 되어 하늘을 나[飛]는 미운 오리새끼처럼 말입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