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세종시당에 게시된 후보자 등록 공고. 자료=민주당 제공. |
민주당 시당에 따르면 시당위원장 선출을 위한 정기 당원대회는 8월 11일 오전 11시 고운동 복합커뮤니티센터 남측 문화관람실에서 진행되고, 이 자리에는 두 후보 외 시당 소속 전국 대의원 및 당원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최대 7300명 선의 권리 당원 투표는 8월 9일 오전 9시부터 밤 8시까지, 130명 안팎의 전국 대의원 투표는 8월 11일 당일 오전 10시부터 낮 12시까지 온라인 투표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당 대표와 최고위원 투표율이 지역마다 적잖은 차이를 보인 가운데 투표율과 표심이 세종시에서 어떻게 나타날 지가 승패를 가르는 키포인트다.
을구 지역위원장 강준현 후보와 갑구지역위원장 이강진 후보는 8월 1일 선거운동 전부터 기자 간담회와 회견, 당원 소통의 날 행사로 예열기를 거쳤고, 지난 5일 간 물밑 선거전으로 맞붙고 있다.
시당위원장 선출 방식. 사진=시당 제공. |
이강진 후보는 일부 당원들로부터 선거법 위반 문제에 우선 직면했다. A 당원은 시당 선거관리위원회를 통해 "(이강진 후보가 참여한 8월 2일 갑당원 타운홀 미팅 시즌2를 놓고) 8월 1일부터 시작된 공식 선거운동 기간 금지된 모임을 주최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는 당규에 배치되는 행위로 우려된다. 사전 신청을 받은 행사를 비공개로 합동도 아닌 단독으로 진행했는데, 이는 당규에 규정된 간담회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당규 4호의 당직 선출규정에 따른 34조(금지 선거운동 행위), 36조(시·도당 등의 합동 연설·간담회)에 저촉되고, 후보자 또는 대리인의 집단 당원 접촉 행위가 중징계 사유란 해석이다.
더욱이 그 자리에서 이해찬 전 대표의 '민주당의 나아갈 길'을 주제로 한 특강이 이어진 부분에도 문제 인식을 드러냈다. 남은 시간 시당 선관위가 어떤 판단을 내릴지는 지켜봐야 한다.
8월 2일 진행된 세종갑 당원 타운홀 미팅 시즌2. 사진=갑지역위원회 제공. |
때마침 지역의 한 언론사가 8월 7일 오전 10시 30분 토론회 개최 공문을 양측에 발송한 상태인데, 현재 이강진 후보 측만 참석을 확정한 상태다. 해당 언론사 관계자는 "1명의 후보만 참석하더라도 인터넷 방송 형태의 토론을 진행할 계획이다. 강 후보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토론회에 응할 경우, '이 후보의 프레임에 끌려가는 것'이란 해석부터 '정면승부로 압도적 승리를 이끌어 내야 한다', '다른 지역 선거 토론회처럼 선도적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등의 다양한 시각이 엇갈리고 있어 최종 참여 여부는 미지수다.
현재의 2가지 변수가 4일 앞으로 다가온 시당위원장 선거 판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한편, 강준현 후보는 임기 2년의 시당 운영계획서로 ▲공감하는 세종시당(권리당원의 당무 참여 기회 확대 등) ▲유능한 세종시당(시당 내 민주연구원 분원 설치 등) ▲승리하는 세종시당(지역위원회 경쟁력 강화, 지원 확대 등) ▲미래를 준비하는 세종시당(시대상에 맞는 새로운 정치 리더십 강화 등) 등을 핵심 방향으로 정했다.
이를 위해 권리당원 협의체 구성과 당원이 선출한 대표를 상무·운영위원으로 선임해 의사결정 참여 등 당내 소통 구조를 혁신하고, 정기 여론조사 등을 통한 맞춤형 컨설팅으로 지방선거 대응체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정치 스쿨 상설화로 청소년 유권자 교육과 당원 참여도 확대한다. 결국 바닥 민심 회복으로 지방선거와 대선 승리의 전초기지를 구축하겠다는 비전을 세워뒀다.
이강진 후보는 이에 질세라 승리하고 일 잘하고, 당원이 주인되는 세종시당을 지향하며, △당원 중심의 민주적 세종시당 운영 △지방선거 TF팀 구성 △지역 맞춤형 정책과 전략 준비 △당직의 공정한 배분 등 공정 공천 시스템 등으로 나아가기로 했다.
당직의 공정한 배분과 지방선거 TF팀은 조직, 시당의 정책 기능 강화 및 지방자치 아카데미 운영 등은 정책, 정기 교육프로그램 등은 교육, 타운홀 미팅 정례화와 모임·동아리 지원 등은 소통, 논평·보도 대응 체계 및 유튜브 채널 운영 등은 홍보 역량 강화 측면으로 추진한다.
캐치프레이즈는 2026년 시정 교체, 2027년 정권교체로 정했고, 기간별 13개 과제의 목표시기는 모두 2026년에 초점을 뒀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