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의근 유성선병원 소화기내과 전문의 |
미생물의 독소에 의해 발생한 식중독이 발생한 경우 소화관에서 흡수되지 않고 구토나 설사 같은 소화기 증상만 일으키는 경우가 많지만, 세균이 증식해 발생한 식중독의 경우 세균이 소장 장벽을 뚫고 들어가서 구토나 설사와 같은 소화기 증상과 함께 전신 발열까지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일부 세균이 만들어내는 독소는 신경 마비, 근육 경련, 의식장애 등의 증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식중독이 발생한 경우 하루 5회 이상의 설사와 구토가 있다면 입이 마르고 탈수가 생기며 기력저하가 오게 된다. 쥐어짜는 양상의 복통이 있고 혈변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럴 때는 병원을 방문해 입원해야 한다. 소아나 노인의 경우 체중이 적고 면역력이 약하므로 탈수에 더 취약하므로 증상이 심하게 악화되기 전에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다.
식중독에 걸리게 되면 급격한 속도로 수분과 전해질을 손실되는데, 수분과 전해질은 보충하기 위하여 물과 이온 음료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차갑게 마시게 되면 설사가 재발할 수 있으니 미지근한 온도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 수분과 전해질 흡수가 잘 되지 않으면 그때는 수액 주사를 맞아야 한다. 대부분의 장염은 약 3~7일간의 수액 치료로 호전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발열이 심하거나 수액치료로 호전 없는 세균성 장염의 경우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조기 발견 및 치료만 된다면 대게 경과는 좋은 편이다.
여름에는 음식을 반드시 익혀먹는 것이 좋다. 냉장고에서도 증식하는 세균이 있으므로 냉장고를 정기적으로 청소해 줘야 하며 1달 이상 지난 오래된 음식재료는 아까워도 버려야 한다. 행주와 도마, 칼 등 조리 도구 역시 세균 증식이 쉬운 곳으로 하루 1~2회는 반드시 끓는 물에 소독해야 한다. 행주는 하루 한 번만 사용하는 일회용을 사용하는 것도 질병 예방에 좋겠다. 상하기 쉬운 식품이 장시간 실온에 방치된 경우에는 아깝지만 조리하지 말고 그냥 버리는 편이 안전하다. 혹시 음식 맛이 이상하거나 조리 시간이 하루가 지난 음식이라면 먹지 말아야 한다. 음식물들은 반드시 씻어서 먹어야 하며, 껍질이 있는 과일들은 껍질을 벗겨서 먹는 것이 좋다. 유통기한을 확인하는 것도 식중독 예방에 매우 중요하다. 7~8월은 비브리오 세균이 잘 자라는 시기로 당뇨나 간경화 있는 사람들은 생선회 등 날음식을 피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