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일 사회공헌연구소 대표 |
지난 23일에 치룬 국민의힘 전당대회는 대표최고위원에 서울 출신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을 선출했고, 충남 출신 장동혁 국회의원이 포함된 5명의 최고위원을 선출했다. 국민의힘의 경우 대표 경선에서 충청 연고를 지닌 나경원 의원과 윤상현 의원이 석패했지만, 최고위원 경선에서 충청 연고자를 한 명 배출함으로써 여타 정당에 비해 충청 대표성을 다소나마 반영할 수 있게 되었다고 평가해 볼 수 있다. 다음 달 18일에 치를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에는 3명의 대표 후보와 8명의 최고위원 후보가 경합하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충청 연고자는 한 명도 없다. 마찬가지로 5월 19일과 7월 20일 각각 지도부를 선출한 개혁신당과 조국혁신당도 대표나 선출직 최고위원에 충청 연고자는 전무하다. 전체적으로 보면, 4개 주요 정당의 선출직 최고위원 15명 중 충청 연고자는 1명(6.6%)뿐인 것이다.
지난달 26일에 충청 출향인사 모임인 사회공헌포럼에서는 제21대에 이어 제22대 국회의원 취임 축하회를 가진 바 있다. 당시 충청 연고 의원은 충청권 지역구의원 28명, 비충청권 지역구의원 15명, 충청 출신 비례대표의원 6명 등 총 49명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체 300명 의원 중 16.3%에 해당하는데, 전국 인구 중 11.8%를 차지하는 충청 지역민과 비공식적으로 알려진 충청 출향인을 합친 16%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국회 의석에서 충청 대표성이 적절하게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문제는 지역발전과 밀접히 관련이 있는 정당의 의사결정 구조에서 충청 대표성이 극히 제한되어 있다는 점이다. 달리 말하면, 정부·여당뿐만 아니라 야당에서도 충청의 지역발전을 촉진하거나 추동시킬 수 있는 정치적 환경과 역량이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혹자는 이 같은 주장이 자칫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들에게 이른바 정치적 부족주의(tribalism)에 해당하는 지역주의에 경사 하도록 하는 것이 아닌지 문제를 제기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국회의원은 정체성 대상을 국가뿐만 아니라 지방과 세계에도 두고 있는 정치행위자다. 그렇기 때문에 지방주의(localism), 국가주의(statism), 세계주의(cosmopolitanism) 등 다양한 가치들을 갖고 있으며, 세계화와 지방화가 국가의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글로컬(glocal) 마인드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정치지도자나 국가지도자로 성장하고자 하는 국회의원이라면 선거구나 연고 지역에 대한 정체성을 자신의 정치적 자산으로 삼는 것은 현실적일 뿐만 아니라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특히 지역구 국회의원은 지역 대표성을 강화하기 위해 당권에 도전하는 것을 정치적 소명이자 책무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충청권 28명 국회의원 중 3선 이상은 박범계(대전 서구을·4선), 조승래(대전 유성구갑·3선), 김종민(세종갑·3선), 강훈식(아산시을·3선), 성일종(서산시태안군·3선), 어기구(당진시·3선), 이종배(충주시·5선), 박덕흠(보은군옥천군영동군괴산군·4선) 등 8명이다. 이들 대부분은 뛰어난 정치적 역량과 권력의지를 갖고 있다고 여겨진다. 이번 전당대회에서는 당권 도전을 겸양의 미덕을 발휘해 사양한 것으로 보이는데, 아마 2년 후에는 기라성 처럼 죽 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50대 국회의원들의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한 도전이 기대된다. 외람되지만, 그런 도전이 두려우면 다음 총선에서 연부역강 한 정치지망생에게 지역구를 양보하는 것이 그동안 지지와 성원을 보내준 지역민들에게 긍정적인 기억을 선사하는 일일 수 있다. 차제에 정당 지도부에 입성한 적이 없이 국회의장단에 기웃거리는 행태를 삼가는 것도 정치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임을 덧붙이고 싶다. 유재일 사회공헌연구소 대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