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석 소설가 |
2015년에 세계유산에 등재된 군함도와 이번에 사도광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와 맞물러 오히려 우리에게 강제징용의 상징성을 띄게 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아이러니하게 나는 강제징용의 한 현장이었던 군함도에 대해서 '군함도' 영화를 보고 알았다. 이번 사도광산도 유네스코 등재 추진과 관련하여 한국 방송국의 뉴스를 통해 접했다. 대부분의 한국인이 역사를 보는 방식이 그렇겠지만 사안이 있을 때 반짝 기억하고, 쉽게 잊어버린다. 아픈 역사를 기억해야할 만큼 마음에 여유도 없고, 과거의 망령을 들춰내어 곱씹는 것이 마음 아프고, 미래지향적이라고 보지 않기 때문이다.
나도 그런 점에서 일본의 세계유산등재에 딴죽을 걸고 싶은 마음은 없다. 단지 기억하고 보존하는 일은 그들만의 문제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일본은 근대화를 이끈 유산에 대한 자부심과 지역관광자원으로 개발하려는 명분을 얻기 위해 유네스코 세계유산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한 가지 간과하고 있는 것이 있다. 다른 나라에 상처준 역사도 유산의 일부로 기억해야 한다는 것이다. 폴란드의 아우슈비츠 수용소가 세계유산에 등재(1979년)될 때 가해국이었던 독일은 다시는 홀로코스트의 망령이 되풀이되어서는 안된다는 사죄의 마음으로 유산이 잘 보존되도록 지금도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일본은 독일과는 달리 일정시기의 역사는 자랑하면서 그 후 강제동원의 역사는 기억에서 지워버리려는 의도와 왜곡이 심하다. 조선인들이 스스로 돈 벌려고 왔지 강제동원한 사실은 없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그들의 일관된 주장이기도 하다.
일제시기 때는 일본총독부가 조선사편수회를 만들어 자기들 입맛대로 한국역사를 왜곡해 놓은 것만 봐도 더 이상 말해서 뭐하겠는가! 더 아이러니한 것은 해방이 되어 주권도 찾고, 지금은 경제성장에서도 일본을 앞지를 정도로 한국은 발전했는데도 역사문제만큼은 일제의 잔재가 그대로 남아있다는 것이다. 한국 상고사의 단군 할아버지를 할아버지라고 제대로 부르지도 못한다.
뉴스에서는 한국 외교부가 강제동원의 역사를 기록에 남긴다는 약속을 받고 유네스코세계유산위원회에서 만장일치에 합의해 주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일본의 약속은 지켜볼 일이지만 나는 적어도 한국위원은 반대표를 던져야 한다고 본다. 딴죽을 거는 것이 아니라 기억하라는 것이다. 적어도 강제동원되어 희생된 우리의 할아버지, 할머니를…. 윤석열 정권이 친일외교를 하더라도 이런 민족정신이 결여된 것은 아쉽지 않을 수 없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마라톤 금메달리스트인 송기정 선수가 일장기를 가슴에 달고 기미가요가 울려 펴지는 가운데 시상대에서 고개를 숙이고 있는 사진이 당시 식민지 한국인의 가슴에는 위로이자 한으로 남았다. 이제 한 세기가 지난 오늘, 역사인식에서 한국인은 더 당당하고 떳떳하게 가슴에 태극기를 휘날려야 한다. 파리올림픽에서 태극전사들의 선전을 기원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