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부인해도 금광산인 사도(佐渡島)의 산업시설에 강제로 동원돼 폭력과 학대로 죽어간 기록과 증언은 많다. 이러한 사도광산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려면 21개국 전부가 동의해야 한다. 위원국을 구성하는 한국 정부의 찬성표 덕에 가능했단 뜻이다. 광산의 역사 전체를 반영하라는 요구를 일본이 수용했다는 명분이다.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손바닥 뒤집듯 하고 강제징용 역사를 왜곡해 왔던 전례 반복을 막을 장치는 없다. 그런 점이 안타깝고 미진하다.
군함도 등재 당시처럼 '본인의 의사에 반해(against their will)' 동원돼 '강제 노역(forced to work)'을 했다는 기록 정도는 명시했어야 마땅하다. 일본은 과거 약속을 그대로 이어간다는 뜻이 담겨 있다는 식으로 어물쩍 넘기려 한다. '강제성' 부분을 양보해 군함도(하시마) 등재 때보다 후퇴한 가운데 일본열도는 축제 분위기다. 지금도 산업유산정보센터에는 강제징용 피해가 없었다는 식의 증언과 자료가 버젓이 걸려 있다. 작은 '성과'에 취하지 않고 왜곡과 약속 번복에 대해서는 단호히 맞서야 한다.
졸속 합의나 외교 참사 아닌 실질적 조치인지는 후속조치 이행에 달렸다. 주유네스코 일본대사는 조선인 강제동원을 인정하지 않는 듯한 태도를 견지한다. 역사적 사실이 군함도의 경우처럼 흐지부지되지 않을지 지켜봐야 하겠다. 평화는 서로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된다는 유네스코 헌장 정신에 맞는지 의심스러운 대목이 한두 가지 아니다. 강제동원을 인정하고 매년 희생자를 기린다는 조건 이행은 일본이 가져야 할 역사적 양심의 '최소한'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