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현민 사회과학부 기자. |
첫 만남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멘트다. MBTI 유형을 물어보는 것은 서로 처음 만나는 이들의 필수 질문코스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과거엔 취미, 성격 등 상대에게 일종의 취재 과정이 필요했기 때문에 그 사람의 종합적인 성향을 파악하는 데 시간이 소요된 반면 현재는 16가지로 나뉜 MBTI 유형으로 상대의 종합적인 면을 판단하고 한 치의 의심도 없이 상대방을 인식하고 있다.
가끔 MBTI 유형이 낙인처럼 작용할 때도 있다고 본다. 처음 밝힌 MBTI와 다른 행동을 했을 때 의아하게 바라보는 시선이 늘어난다고 생각한다. "외향적인 성향이라고 했으면서 별로 그렇게 보이지 않네?" 라는 말은 필자에게 꼬리표처럼 따라 붙는다. 꼭 외향적인 사람은 물불 가리지 않고 항상 에너지가 넘치고 상대방에게 다가가고 매사에 적극적인 모습만 보여줘야 상대의 기대치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부담감도 있다.
16개의 유형만으로 사람을 구별한다는 것은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유형을 구별하는 특징은 MBTI 검사의 대표적인 강점이면서 동시에 결점으로 작용한다. 사람은 단지 16개의 유형으로 나누기 힘들 정도로 복잡한 존재기 때문이다. MBTI만 갖고 상대의 성격은 물론 행동 방식까지 유추할 때 우연히 일치하는 경우 확증 편향으로 상대에 대한 편견이 생긴다. 전문가들은 MBTI의 인기가 '바넘효과'에 있다고 보고 있다. 이는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성격 특성이 자신의 성격과 일치한다고 믿으려는 현상이다. MBTI 테스트엔 모호한 설명이 제공되지만 이중 한두 개만 일치해도 모든 설명이 일치하는 것처럼 확장시키기 때문이다. 과거에 혈액형, 별자리 등을 바탕으로 자신 또는 상대를 판단하는 오류를 범한 것과 유사하다.
최근 중국에서 MBTI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일부 기업이 직원 채용에까지 적용하고 있다. 중국 노동법에 따르면 기업은 직업적 요구 사항과 관련이 있다고 증명된 것 외에는 응시자를 제한하는 장애물을 설정할 수 없다고 명시됐다. 이에 노동자들이 중국노동법에 위반된다는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한 유튜브 채널에서도 이와 비슷한 현상이 미래 대한민국에서 펼쳐질 거라는 주제로 풍자 형식의 영상을 배포한 적 있다. 해당 영상을 볼 땐 유쾌하고 설마 그러겠나 하는 생각이 지배적이었지만 최근까지도 중국에서 이런 논란이 있다는 것을 접하고 성격유형검사의 과몰입이 사회 문화를 완전히 뒤바꿀 수도 있다는 두려움도 엄습했다. 이런 상황 속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각국이 MBTI로 물든 세상이 되면서 점점 그 알파벳들 안에 자신을 끼워 맞추고 있지 않은가 돌아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