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택 삼남제약 대표 |
충청도가 충주와 청주, 두 지역의 이름을 딴 것이라는 것은 상식이다. 그런데 왜 충주, 청주일까? 왜구 침략에서 비교적 자유롭고, 자연재해에서 피해가 적기에 살기 좋은 고장이었을 것이다. 해발 904m인 서대산이 충남에서 가장 높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금산도 지대가 낮은 지역이 아니기에 수해(水害)에서는 비교적 자유로웠었다. 그렇지만 온난화로 인한 물폭탄은 언제 어디에서 터질지 모르는 세상이 되었다. 어느 지역이든 100㎜ 이상 물폭탄이 터진다면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문제가 발생하면 금산 지역에서 가장 먼저 움직이는 조직이 두 개 있다. 하나는 100년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적십자 조직이다. 태생이 구호단체이기 때문에 평소에 조직이 잘 되어 있고, 수많은 경험을 나눠 가진 회원들이 일사분란하게 움직였고, 이번에도 가장 먼저 현장에서 활동을 시작하는 모습을 보았다.
두 번째 조직은 금산군 자원봉사센터이다. 평소에는 자원봉사자들을 관리하고 교육하는 역할을 수행하다가 일이 터지면 바로 현장에서 요청받는 지원요청을 접수하고 지역의 로타리클럽을 비롯한 각 봉사단체들에게 역할을 배분하는 일을 수행한다. 인구 5만의 고장 금산에서 자원봉사자로 등록된 인원이 1만6000천명에 육박하는데, 인구 3명 중 한 명이 자원봉사자인 고장이 금산이니 엄청난 비율이 아닐 수 없다. 이 분들을 관리하는 조직이 비상근인 센터장을 비롯, 5명밖에 없으니 이들의 일과 관련된 부담을 짐작할 수 있다. 이번 수해에 동원된 자원봉사자의 숫자가 연인원 2300명이었고, 이 인원은 앞으로 더 늘어날 수 있다. 당연하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공직자들의 노고에 대해서도 칭찬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들리는 말로는 재해 현장 접수하는 공무원이 과로로 쓰러졌다고 한다. 피해 현장의 어려움을 접수해서 재난지역으로 인정받기 위해 정리하는 과정의 서류 작업이 쉽지 않은데, 그 숫자가 너무 많아 힘들었다고 한다.
경찰관, 소방관, 군인들을 비롯한 공직자들의 노고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현장에서는 더 큰 어려움이 산적해 있을 것이다. 금산 관내의 장비가 모두 현장에 투입된 것도 모자라 외부에서 중장비 100여대가 동원되었다고 하는데, 여전히 현장에서는 사람 손으로 할 수 없는 작업들이 너무 많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얘기가 들린다. 실제로 재난 현장을 가 보았다. 엄청 더운 날씨에 땀 뻘뻘 흘려가며 물에 잠겨 썩어가는 농작물을 정리하고 집안 가재도구들을 모두 들어내어 마을회관으로 옮기면서 한 가지라도 건지려고 애쓰는 주민들과 자원봉사자들의 노고에 머리가 절로 숙여졌다.
피해를 입은 분들과 이들을 돕기 위해 땀 흘리는 분들 모두 많은 고생을 했지만 더 큰 문제는 이것이 마지막이 아닐 것이라는 두려움이다. 당장 태풍이 올라오고 있고, 또 다른 물폭탄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예보가 있다. 설사 올 여름은 잘 넘긴다고 해도 내년에는 어떤 일이 생길지, 겨울에는 눈폭탄이 터질지, 혹은 가뭄으로 고생할지 아무도 알 수 없는 불확실성의 시대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인력으로 어쩔 수 없는 재난이라도 미리 대비하고, 정확한 대응 로드맵을 만들어 놓았다가 유사시에 실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현재로서는 최선이 아닐까 한다. <민관군(民官軍)>이라는 다소 식상한 단어의 중요성이 더욱 중요해지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