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부터 이러진 않았다. 언론 용도 토지를 공급한다며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과 당시 한국토지공사가 설명회와 현장 투어를 한 지 12년이 지났다. 문재인 정부 때 세종시와 협약을 맺은 17개 언론사의 움직임은 빛바랜 양해각서로만 남아 있다. 원래 정부부처 이전과 동반해 언론기관 입주가 본격화해야 정상이다. 공간적으로는 그 언론단지가 나대지 상태로 존재한다. 어디에 어떤 규모로 언제까지 완공한다는 '플랜 A'조차 없으니 선뜻 나서겠는가. 단 2곳 분양에 그칠 정도로 호응도가 낮았던 건 그만한 사유가 있었다.
현재로서는 언론사 입주 수요 재조사부터 다시 해야 할 처지다. 이후로도 언론 거점 역할, 출판과 콘텐츠 제작 등 관련 산업의 단지를 만든다는 희미한 계획에 기대서는 안 된다. 미디어단지를 조성한다는 원칙 하나 믿고 수도권 및 충청권과 다른 지역의 '레거시 미디어'로 불린 전통 언론과 새로운 매체들이 속속 이전한다고 본다면 대단한 오산이다. 사업이 자리잡을 추진력을 상실한 건 앞으로도 제일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지금 해야 할 최선은 행정수도 위상에 먹칠하지 않도록 프레스센터 건립을 포함한 단지 분양 대책을 재정립하는 일이다. 초기 한때의 화려한 포장은 이제 먹히지도 않는다. 이대로 우유부단하게 흘러가면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구체적인 건립 계획 등 선명한 정상화 신호를 주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세종형 디지털 미디어단지'는 대통령 공약이기 전에 국회 세종시대 등 행정수도 진로와 무관하지 않은 일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