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인 국립한밭대 융합경영학과 교수 |
자카르타에서 150Km 떨어진 반둥(Bandung), 이곳은 1955년 '아시아-아프리카 선언'으로 유명하다. 2019년 10월 반둥공과대학(ITB) 회의에 참석했을 때, 조코위(Jokowi)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개각 중 공유업체로 유니콘을 넘어 데카콘 기업(기업가치 100억 달러)으로 성장한 고젝(GoJek) 창업자를 교육문화연구기술부 장관에 임명은 파격적이었다. 창업 아이콘, 나딤 마카림(Nadiem Makarim)은 34세 나이로 교육부 장관이 되었고 지금까지 5년간 재임하며 혁신적 교육정책을 펼치고 있다. 두 번째 5년 임기를 시작한 조코위 대통령은 인도네시아가 네덜란드에서 독립한 지 100년이 되는 2045년까지 세계 5위 달성을 목표로 내걸고, 이에 걸맞은 인재양성을 위해 스타 CEO를 발탁, 5년간 임기를 같이했기에 부럽기도 했다.
그가 추진한 정책의 성과는 미래에 나타날 것이라는 게 현지에서 만난 교수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1984년생 마카림 장관의 교육정책에는 "새로운 학습프로그램 개방, 학점시스템 개선, 주립대학 선발제도 개선, 3학기 인턴십"이 있었다. 특히 산업계의 무관심으로 단기간(2~3개월) 인턴십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는 의견을 수용, 인턴십 기간을 3학기로 늘렸다. 하지만 산업체를 구하기 어렵고, 참여 의지 부족으로 아직 만족스럽지는 못한 형편이다.
한편 교실의 경계를 허물어 캠퍼스 밖의 수업이 개설되도록 했고, 학생들에게 수업선택권을 준 것은 매우 혁신적이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빅 데이터 등 과목을 교내에서 수강해도 되지만 외부 기업이 개설하는 경우 이곳에서 수강하고, 학점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경계 없는 대학'의 모습이다. 외부기관이 더 교육을 잘하면, 외부 개설과목을 학생들이 선택 가능하게 하고, 이때 해당 과목 강사료는 대학이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대학관계자들의 불만도 높다. 대학 내 강사들에게도 위기 요인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학생 입장에선 양질의 교육기회를 선택할 수 있고, 대학에게도 경쟁자가 있어 미래지향적 제도임엔 틀림없다. 만일 우리나라에서 이 제도를 도입한다면 어떤 현상이 벌어질까?
페이스북 직원들의 핸드북에는 이런 냉정한 말이 담겨있다. "우리가 페이스북을 대체할 존재를 만들어내지 못한다면, 다른 누군가가 그렇게 할 것이다."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 없이 대학 조직의 생존은 어렵다. 마치 '뱅크'라는 조직은 사라져도 '뱅킹'(banking)이란 기능은 남는 것처럼. 그래서 대학의 기능 일부도, 기업 등 누군가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인도네시아 메르데카(Merdeka), '반둥 선언'의 장소에서 한다..
대학을 포함해 조직의 혁신역량은 생존의 필수 조건이다. 여기에는 경쟁자들이 존재하므로 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얼마나 혁신적인가를 파악해야 한다. 대학에서 혁신의 분석단위는 개인, 집단, 학과, 단과대학, 대학 전체 등 다양하다. 지역발전을 위한 정부의 혁신 정책 중 하나인 '글로컬대학 30'도 참여대학들이 명확한 비전을 갖고, 이를 구성원들이 공유하며, 국내외 경쟁대학들과 어떤 비교우위가 있는가를 명확히 해야 한다. 무엇이 차별점이고, 고객이 누구이며, 지역의 문제와 요구를 어떻게 충족하고 기여할지도 구체적이어야 한다. '계획과 실행'을 위한 어떤 가치를 만들고 전달할지에 대한 구체적 전략, 그리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구조가 잘 짜여야 한다. '구조는 전략을 따른다(Structure follows Strategy)'는 명언처럼 말이다. /최종인 국립한밭대 융합경영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