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방학이 시작되었는데 이렇게 말하려면 학부모님들에겐 용기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방학이 시작되면서 학교보다 약간 느슨하거나 혹은 더 빡빡한 공부 스케줄을 만들어 학원으로 달려간다. 그 이유는 불안하기 때문이다. 남들 다 가는 학원에 안 가면 공부가 뒤처질까 불안하고, 엄마 아빠 없이 집에 혼자 두는게 불안하기도 하고. 둘 다이기도 하다.
그런데 교직에 있어 보니, 공부를 잘하는 학생은 학원에 많이 가는 학생이 아니라 자기 생각을 가진 학생들이란걸 경험적으로 알게 되었다. 꼭 공부가 아니라도 자신의 일을 야무지게 해내는 학생들은 기본적으로 ‘생각’이라는 걸 야무지게 하는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러니 이번 방학에는 우리 아이들이 자기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면 어떨까 제안한다. 그 시간에 생각하는 법을 가르치고 깨우치도록 말이다. 거창한 철학을 말하는 게 아니고 생각하는 법의 첫 단계를 만들어 주면 좋겠다는 말이다.
시작하기 쉬운 방법으로, 방학만이라도 엄마 아빠가 퇴근하여 집에 일찍 들어와, 자기들만의 가정을 만들어 온 과정을 자녀와 함께 이야기하면 좋겠다. 엄마아빠가 어떻게 만나고 사랑해서 너를 낳고 얼마나 기뻤고 또 너를 통해 어떤 꿈을 꾸었고 등등. 그러는 과정에서 아이는 자신이 얼마나 사랑받는 존재이고 희망이고 소중한지 알아가게 된다. 궁극에는 가족 서로가 60억 인구 중에 오롯이 ‘우리’라는 뜨거운 유대감을 가지게 되고 아이는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상황과 환경 등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된다.
이렇게 스스로 생각하기 시작하는 것은 당장의 공부 뿐만 아니라 인생을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한 힘이라고 생각한다. 생각할 줄 알면 자기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깨닫게 되고 이것이 학습동기가 된다. 학습성취가 높은 사람은 학습동기가 높다. 학습동기가 생기고 자라나려면 '생각'이라는 기본 틀이 있어야 한다. 그 생각의 틀은 '나'를 이해해야 하는데 그 '나'는 가족에서 만들어진다. 그러니 아이를 위해서 학부모는 이번 방학에 집에 일찍 들어가서 아이와 생각의 틀을 만드는 데 함께 하는 것이 어떨지 제안한다.
무턱대고 공부하라고 강요하고 학원에 보내고 돈만 벌어다 준다고 아이가 바라는 대로 성장하는 것이 아닌 경우를 무수히 본다. 좀 극단적인 예이지만 그 수가 적지 않기에 기억해 본다.
아들이 학폭에 연루되자 아침에 술 냄새 풍기며, 교장실에 면담하러 쳐들어온 어느 아빠의 몸부림 같은 절규가 애처로웠다. "왜 남들 자식은 밥만 먹여도 공부도 잘하고 잘 크는데, 내 새끼는 매번 생각 없이 문제를 일으켜서 아빠를 학교에 오게 하는지 저도 속이 터집니다! 교장선생님!" 그분의 노동자로서의 고단한 삶에 100% 공감하지만, 돈 버는 일에는 의사, 판사, 자영업 노동자 등 다양한 직업으로 바라보지만, 집에 와서 '아빠'는 아이에게 똑 같다는 점을 말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아버지 직업이 의사, 판사, 자영업자인 경우 학폭에 연루되는 아이들 사례가 비슷하게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안타깝지만 엄하게 물었다. "아빠는 아들하고 하루에 아니 일주일에 아니 지금까지 얼마나 대화를 하고 살았나요? 지금의 아들이 하루아침에 저렇게 되었겠나요?"
아이를 잘 키운다는 것은 결단코 쉬운 일이 아니다. 아이와 눈높이를 맞추어야 하고 그리고 기다려 주어야 한다. 이번 방학에 엄마 아빠 밖에서 놀지 말고 집에 일찍 들어가서 자녀와 함께 놀아봅시다. 그래서 자녀의 생각 속에 함께하는 엄마 아빠가 되어봅시다.
이번 방학은 공부하라는 방학이 아니고 쉬면서 생각하라는 방학이 되면 좋겠습니다.
정상신/대전미래교육연구회 회장, 전 유성중 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