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충일 북-칼럼니스트 |
지난 주말 언제 부턴지 버스나 지하철을 타면 빈자리를 찾아 두리번거리게 된다는 고등학교 동기 몇몇이 자식의 늦은 혼사에 감사하다며 마련된 자리에서 맛난 점심을 먹고 왔다. 게다가 인사차 함께 자리한 새 신랑과 새색시의 좋은 선물까지... 이제는 횡단보도의 신호가 바뀔 때 반사 신경의 반응 속도가 늦어지고 있다는 혼주는 애경사에는 즐거움 속에 늘 생각지 못한 아쉬움이 묻혀있음을 알고 이를 '의미심장한 식사'로 풀어내고 있었다.
이를 '이웃과의 밥상'이라 부르자. "아픈 몸이/아프지 않을 때까지 가자/ 온갖 식구와 온갖 친구와/ 온갖 적들과 함께/ 적들의 적들과 함께/ 무한한 연습과 함께"( 김수영의 「아픈 몸이」, 부분) 물론 이 시는 김수영의 시사(詩史)에서 중요한 변곡점을 이룬, 시대의 퇴보를 온몸으로 아파하는 모습이 담겨진 현실 참여적 견해로 본다, 허나 오늘 춘추자(春秋者)는 이 '밥상'을 머리로는 고개를 끄덕이지만, 몸으로는 행하지 못하는 어느 한 '답답한 인생'의 참회의 두리번거림으로 읽는다.
우리들은 어떤 방법으로든, 어떤 이유로든 스스로의 일상을 들여다보며 생각하고 느끼고 마주치는 대상들과 부대끼며 사는 아픈 존재들이다. 세상의 모든 아픈 것들(식구, 친구, 적들, 적들의 적들, 이 모든 것인 세상)과 "아픈 몸이 아프지 않을 때까지" 즉 친화적 관계로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날 까지 "무한한 연습"을 하며, 넘어지고 엎어지고 다치며 '이웃과의 밥상'을 향하여 걸어가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그렇다. 무한한 연습만이 아는 것을 살아내는 제일 덕목이다.
또 한 번 이 만남을 '살음의 밥상'이라 불러보자. "가련한, 가련한, 가련한 인생에/첫째는 살음이다. 살음은 곧 살림이다./살림은 곧 사랑이다. 그러면,/사랑은 무엔고? 사랑은 곧/제가 저를 희생함이다./그러면 희생은 무엇? 희생은/남의 몸을 내 몸과 같이 생각함이다."(김소월의 시「가련한 인생」,부분) 인생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살아가는 것, 생존이다. 그렇게 소월 시인은 생존을 살림 앞에 놓는다.
내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남(타자)을 살려야 한다. 이런 살림이 곧 사랑이고 자기희생이다. 자기희생이란 그저 자기 몸을 없애는 것도 아니고 불이익을 감내하는 것도 아니다. 그보다 먼저 '나'라는 고정되고 미화된 '자기 프레임'을 깨트려 바꾸는 것이다. 그래야만 타자를 사랑할 수 있고 살릴 수 있고 결국 내가 살 수 있다. 이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삶의 지혜임을 알고는 있다. 그런데 '그것을 실천해봤어?' 그날의 혼주가 마련한 '살림 밥상'은 길을 아는 것과 길을 걷는 것의 차이가 어떠한 지를 또 한 번 보여주고 있다.
우리는 누구나 내가 조금은 괜찮은 삶을 살고 있다는 자긍심이 없진 않다. 다만 세월의 흐름 속에서 가끔은 느는 새치와 주름, 넉살을 가장한 속물이면서 괜찮은 인간인 척하는 소름끼치는 가면을 늘려가며 살지 않았는지 돌아보기도 한다. 지난 토요일의 '이웃과의 살음의 밥상'모임은 마음을 내려놓고 사는 일이 쉬운 일이 아니며 나에게도 '지혜의 실천 밥상'을 톺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이렇듯 두 생각이 서로밀치고 뒤엉키면서 만들어진 회색지대는 일상의 매 순간 생겨난다, 그 속에서 '아는데, 살아내진 못하나보다'라며 하루를 또 보내는 일이 삶의 리얼리티가 아닐까.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