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연구원 '청년인식 심층분석을 통한 대전 이주와 정주 지속 영향 요인 탐색' 자료. |
대전세종연구원에서 최근 발표한 '청년인식 심층분석을 통한 대전 이주와 정주 지속 영향 요인 탐색'을 보면 2024년 4월 기준 대전시 주민등록인구는 144만1272명으로 감소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2023년 광역시 중 유일하게 조출생률이 5.0명을 유지했다. 특히 합계출산율은 2020년 0.805명에서 2021년 0.810명, 2022년 0.842명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전의 지속적인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서는 청년 인구 유지가 중요 과제가 됐다.
2023년 11월 도시정보센터가 시행한 '대전 거주 25세~45세 시민 2128명 대상 정주 및 출산·육아 경험 설문조사'를 심층 분석한 결과 직장 이동과 취업이 대전 이주의 계기였지만, 대전 선택 이유로 대전이 좋아서와 교통이동의 편리함과 여유로움이 많은 선택을 받았다.
수도권에서 대전으로 온 청년은 '여유 있는 도로 상황'과 '오염없는 쾌적한 환경'이, 충남에서 온 청년은 '취업과 창업의 기회'가, 세종에서 온 청년은 '주택계약 만료'가 대전 이주의 주요 사유였다.
혼인으로 인한 대전 이주 보다는 가족이나 부모, 친척과 가까이 살기 위한 비율이 더 높았으며, 친밀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과의 지속적 교류나 공동체성 형성이 이들에게 중요한 사유임을 확인했다.
대전에서 태어난 사람보다 다른 지역에서 태어나 살다가 대전으로 이주해 온 경우가 더 많다. 이전 거주지는 충남이 24.2%로 가장 많고, 서울 15.4%, 경기 12.0%, 충북 10.5% 순이었다.
여성 청년에게 있어 일자리 등 취업지원 정책보다 양육을 지원하는 대전형 양육 기본수당과 유치원·어린이집 교육비 무상 지원이 정주 지속 의사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23개 거주지 결정 요인 중 '직주 근접성', '생활물가', '친한 지인' 등이 대전 정주 지속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여성 청년은 자녀 교육 수준 향상에 필요한 서비스 요구가 강하고, 친밀한 관계 형성을 통한 육아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주혜진 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을 비롯한 연구진은 "국가가 수당과 주요 출산과 양육 인프라를 책임진다면, 지방자치단체는 밀레니얼 세대가 느끼는 '육아의 외로움과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면서 "부모와 지인이 있는 대전으로 이주하고는 경향과 친한 지인이 중요한 청년층의 심리적 결핍 등을 고려할 때 25~45세 청년층의 사회적 관계망 형성과 사회적 지지, 서로 돌봄 문화 형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주민 간 관계, 도시 장소와의 관계 형성에 초점을 둔 사업 발굴과 추진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한, 육아 중심 관계망 형성, 링커 발굴과 양성을 통한 지역사회 또는 장소와의 연결고리 생성 등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