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대전시체육회 회원종목단체 중 규모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는 대전축구협회에서 드러난 이러한 민낯은, 수많은 종목단체가 마주한 현실을 지역사회에 다시 한번 상기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대전축구협회에서 불거진 논란도 사실관계 여부를 놓고 치밀한 검증이 이뤄져야 하겠지만, 종목단체의 폐쇄적인 구조에서 촉발된 고질적 문제라는 점에는 전문가들도 이견이 없다. 이에 본보는 종목단체가 처한 현실과 구조적 문제를 상세히 진단하고, 더 나은 대전 체육 발전을 위한 방향에 대해 함께 알아본다. <편집자 주>
2. 대전에서만 문제?…타 시·도 살펴보니
폐쇄적이고 경직된 체육계 내부의 고질적 병리 현상은 대전 체육계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지만, 초동조치와 사후대처는 큰 차이를 보인다.
관리·감독 기관 차원에서 발본색원에 나서는가 하면, 여전히 당사자 간 합의를 종용해 사건을 덮으려는 단체들도 있기 때문이다.
지역 종목단체는 물론 타 시·도 체육회가 대전축구협회의 '갑질 및 사유화' 논란을 주의 깊게 살피고 있는 만큼, 모범 선례로 남을 수 있도록 관계기관의 보다 적극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이처럼 지역 체육계에서 발생한 여러 폐단을 관계기관이 조기 수습한 사례는 가까이에서 찾을 수 있다.
수년 전 세종 A 종목단체에서 사유화 및 공금 유용을 비롯한 각종 비위 의혹이 불거졌다. 당시 관리·감독 권한을 갖고 있던 세종시체육회는 관련 문제가 지역사회에 공론화되자 경찰 수사 등 타 기관 조사와 별개로 자체 감사를 진행한 바 있다. 내부 규정에 따라 비위 의혹에 대한 특정감사를 전개해 사실관계와 정황을 파악했으며, 이후 스포츠공정위원회를 거쳐 업무 정지와 견책 등의 징계 처분까지 선제적으로 단행했다.
세종시체육회 관계자는 "당시 조직 내 갈등 확산을 막고 피해 예방과 사실 왜곡 방지 차원에서 체육회가 미리 대응해야 한다는 것에 공감대가 모여 자체감사를 진행했었다"라며 "다행히 감사를 통해 구체적인 정황이 밝혀져 오해가 더 커지기 전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었다"라고 소회했다.
대전시체육회도 이번 논란에 손을 놓고 있었던 것만은 아니다. 민원처리방침에 따라 최초 접수된 민원을 절차대로 처리했지만, 양 측 의견을 충분히 종합하는 사이 답변 기한이 늦춰지면서 대립 양상은 법정 공방으로 치닫았다. 갈등 조기 봉합을 위한 주도적인 행정 조치 여부에 아쉬움이 남는 이유다.
대전축구협회의 논란을 지켜본 충청권 한 체육회 관계자는 "이해관계도 있고 워낙 예민한 사안이기에 이해는 가지만, 대전체육회가 정관과 규정에 따라 좀 더 적극적으로 미리 나설 수 있었던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전시체육회 관계자는 "내부 민원처리방침에 따라 제기된 의혹에 대한 대응을 지금도 절차대로 이행하고 있다"며 "체육회 차원에서 앞으로도 원만한 상황 종식을 위해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전 타 종목단체들도 이번 사태 경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최근에서야 '갑질과 종목단체 직원 처우' 논란이 지역사회에 확산하긴 했지만, 대다수 종목단체는 그보다 더욱 열악한 처지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종목단체 관계자는 "축구협회에서 발생한 의혹은 빙산의 일각일 정도로, 권위주의적 위계질서와 갑질로 인한 피해가 체육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며 "축구협회의 사례를 보면서 불만이 터져 나오는 곳이 연이어 나올 수 있다"고 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