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구석 프로뮤즈' 프로필 사진, 왼쪽부터 유병규, 박주안, 천원석. |
천원석: 감사합니다. 음악그룹인 만큼 음악 커버 영상도 많이 올리니 들어봐 주세요.
최: '방구석 프로뮤즈'라는 이름이 참 특이해요. 무슨 뜻인가요?
박주안: 저희 그룹 탄생 배경이 담긴 특별한 이름이에요. 저희 셋은 한밭대 통기타 동아리 출신입니다. 같이 학교를 다니며 교내 동아리방에서 연습만 하다가 졸업하고 본격적으로 팀을 결성했어요. 그래서 동아리 방에서 시작했다는 의미로 '방구석'이란 이름을 붙였죠.
천: '프로뮤즈'는 저희가 만든 단어예요. 저희가 세 명 모두 공대 출신이거든요. 그래서 '3'을 의미하는 화학 언어 'pro'를 활용했어요. 'muse'는 예술적 영감을 주는 대상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입니다.
최: 작사·작곡도 직접 하시는데 공대 출신이라는 점이 놀랍네요. 그럼 음악은 어떻게 시작하게 되신 건가요?
천: 저는 대학 진학 후에 단순히 기타를 배워보고 싶다는 생각에 통기타 동아리에 가입했어요. 사실 기타보단 노래에 더 자신이 있어서 동아리 오디션도 노래로 합격을 했었답니다.
신입생 때 충남대 축제에서 버스킹 공연을 한 적이 있는데 자리를 잘못 잡아서 공연 중간에 공연장을 이동해야 했어요. 이미 사람들은 모여 있고, 시간을 활용해보잔 생각에 노래를 부르며 자리를 옮겼죠. 그런데 이동하는 길 내내 관객들이 제 노래를 들으며 따라오시는 거예요. 마치 피리 부는 사나이처럼요. 그때의 감동이 커서 본격적으로 음악을 시작하고자 마음을 먹었던 것 같아요.
박: 저와 병규는 어릴 적부터 음악을 했었어요. 저는 피아노를 배우며 예고 진학을 준비했었고, 병규는 어릴 때부터 기타 치는 걸 좋아했었다고 했어요.
'ifLand 메타버스 공연' 공연 사진. |
천: 저희는 공연 관련 일을 하고 있어요. 낮에는 회사에서 각자 일을 하다가 일주일에 2~3일 정도는 퇴근하고 연습실에서 또 만나요. 사실 일과 음악을 병행하는 게 쉽진 않지만, 지역 뮤지션으로 맞닥뜨리는 어쩔 수 없는 현실이에요.
최: 아무래도 수도권에 비해 지방은 공연 수가 적으니 지역 뮤지션들은 음악에만 집중할 수는 없는 것 같아요.
박: 맞아요. 뮤지션은 공연 수입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지방은 공연 자체가 적다 보니 생업을 병행하는 게 필수적이죠. 상대적으로 수도권보다 사람이 적어서 공연에 대한 니즈와 수요도 적은 게 당연한 현상이라고 봐요.
천: 또 지역 내에서 진행되는 행사는 한정적이어서 매년 참여하던 행사에만 공연 다니는 느낌이 있어요. 그런 축제들은 음악을 목적으로 하는 행사가 아니어서 아쉬운 부분도 있죠. 대전에도 음악을 전문으로 하는 락 페스티벌이나 재즈 페스티벌과 같은 축제가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최: 바쁘신 와중에도 현재 앨범 제작 중이라고 들었어요. 앨범 소개도 해주세요.
박: 이번 앨범은 대전음악창작소의 지원을 받아 제작 중에 있어요. 앨범 명은 '오해와 진실'이고, 사랑하면서 겪게 되는 오해와 진실들을 곡으로 담아봤답니다. 이 앨범이 저희한테는 애틋한 게 오래전부터 준비한 곡인데 코로나 시기를 겪으며 공연 기회가 없어 공개를 못 했던 곡들이에요. 이번 음악창작소 지원을 통해 열심히 준비하고 있으니 기대 많이 해주세요.
단독콘서트 '룸메이트 2' 공연 사진. |
천: 기회가 되면 매년 열고 싶네요. 사실 지역 뮤지션이 소속사 없이 콘서트를 연다는 게 쉽지는 않아요. 첫 단독 콘서트는 지인들이 무상으로 공연도 도와주고 티켓도 잘 팔렸음에도 불구하고 적자가 났었거든요. 다행히 재작년에 열렸던 '룸메이트 2'는 대전음악창작소의 지원을 받아 적자를 면했죠. 지원 덕분에 스태프들에게 페이도 주고 규모도 더 키울 수 있었어요.
박: 단순히 금전적인 지원을 받는다는 걸 넘어서 공연을 키울 수 있고, 그로 인해 저희가 원하는 공연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도움과 희망이 됐던 것 같아요. 이제는 대전시에서 다양한 분야의 아티스트에 지원을 많이 해주셔서 예전보다는 지역 뮤지션으로서 활동하기는 수월해졌다고 생각해요. 감사한 부분입니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