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11일 한은 금통위는 서울 중구 본관에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3.50%)으로 동결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1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뒤, 1년 6개월 가까이 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번 동결로 역대 최장 동결 기록이던 1년 5개월(2016년 6월 9일~2017년 11월 30일)을 넘어섰다.
금리 동결 배경에는 가계부채 상승세와 원·달러 환율, 부동산 불안 등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원·달러 환율이 최근 1400원대까지 뛴 상황에서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까지 2.0%포인트보다 커진다면 원화 가치 하락에 따른 적잖은 역풍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최근 부동산 거래가 점차 증가하고 매매 가격도 상승하면서, 가계대출이 가파르게 커지고 있다는 점도 기준금리 인하를 망설이게 하는 요소다. 여기에 가까스로 꺾인 집값이 다시 폭등할 수도 있단 우려도 있다.
한은 통계에 따르면 은행권 6월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6조 3000억 원)은 지난해 8월(7조 원)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컸다. 더구나 올해 상반기 주택담보대출 누적 증가 규모(26조 5000억 원)는 2021년 상반기(30조 4000억 원) 이후 3년 내 최대 기록이다. 다만, 한은은 향후 3개월 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금통위 내부 논의에 대해 "물가상승률이 낮아졌기 때문에 금리 인하 가능성을 논의할 분위기가 조성됐다"면서도 "대다수 금통위원은 물가와 금융안정 상황을 고려할 때 지금 시장에 형성된 금리 인하 기대는 다소 과도한 측면이 있다"고 했다.
이처럼 한은이 금리 인하 시점을 두고 더욱 신중론을 펼치면서, 위축된 지역경제가 오랜 기간 지속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불안정한 증시 상황과 고금리 장기화로 인해 기업은 물론 지역민들의 부담도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어서다.
한은이 지난달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4월 중 대전·세종·충남지역 금융기관 수신은 감소 전환(1조 2000억 원→-1조 6734억 원)했으나, 여신은 -292억 원에서 6293억 원으로 대폭 확대됐다. 기업대출은 중소기업대출을 중심으로 2827억 원에서 5081억 원까지 불어났으며, 가계대출도 주택 거래량 증가 등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확대에 힘입어 증가 전환(-3969억 원→1630억 원)했다. 늘어난 부채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이 향후 더 커질 수 있다는 뜻으로,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할수록 지역 내수 경제의 위축도 더 확산할 수 있단 우려가 나온다.
지역 금융권 관계자는 "고금리 상황이 계속 길어지면서 최근 늘어난 기업대출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며 "가계대출도 함께 늘고 있는 만큼, 지역경제의 위축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말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