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건혁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선임연구원 |
인간의 시력은 태어날 때 원시에서 정시 또는 근시로 진행되며, 안구의 완전한 성장은 20세까지 지속된다고 알려져 있다. 안구 축의 길이는 14세에 이르러 성인과 거의 비슷한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근시의 경우 8세 정도에 시작돼 10세부터 증가속도가 빨라지므로 해당 시기인 초등학교 때 시력에 대한 올바른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2023년 전국 초·중·고교생 안경 사용률은 57%, 콘택트렌즈 착용률은 21%로 최근 2년 사이에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가장 큰 원인을 팬데믹 시기에 화상수업 증가로 크게 늘어난 디지털기기 사용량에서 찾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학생뿐만이 아니다. 대한안경사협회의 발표에 따르면, 만 19세 이상 성인 안경 사용률이 약 71%로 10명당 7명이 안경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의 인터넷 이용실태 조사 결과 만 3세 이상 국민의 약 94%가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다수의 국민이 디지털기기 사용에 노출되는 상황에서 눈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것은 당연한 일 아닐까.
이미 해외에서는 디지털 눈노화에 대한 이슈가 꾸준히 언급돼왔다. 디지털 눈노화의 대표적인 증상인 'VDT 증후군'과 '안구 건조증'에 대한 연계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다. VDT(Visual display terminal)증후군이란 PC,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를 오래 사용하면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시력저하, 안구건조증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하루에 3시간 이상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의 90%가 컴퓨터 시각 증후군을 경험한다. 게다가 컴퓨터 사용이 많은 사무직 근로자의 안구 건조증 유병률은 최대 70%로 전 세계 안구건조증 유병률(최대 50%)보다 높게 나타난 것으로 알려졌다. VDT 증후군과 밀접한 안구건조증은 국내에서도 대중화된 질환 중 하나다. 2020년 기준 국내 안구건조증 환자 수는 약 245만 명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이와 같은 안구건조증은 디지털 기기를 장시간 사용할 때 특히 그 증상이 도드라지며, 이는 나이가 들어 생기는 일반적인 안구 노화와는 다른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인 노화에 따른 안구 건조증은 눈의 습도 조절 능력 실패에서 비롯된다. 보통 눈은 눈물샘에서 눈물을 분비하면서 눈물층의 생산, 코눈물관을 통해 코로 빠져나가는 배출에 의한 손실, 눈 자체적 증발 등에 의해서 유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요인들이 적절히 균형을 이루지 못하면 건조증이 발생하며, 눈물 자체의 분비 저하나 눈물층이 유지되지 못해 눈물층의 양적 또는 질적인 부족 상태가 건성안 증상을 일으켜 안구표면의 손상을 유발하고, 불편감, 통증, 시력 저하 등의 증상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VDT 증후군과 밀접한 안구건조증은 다소 차이가 있다.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동안 완전한 눈 깜빡임의 빈도는 감소하고, 눈꺼풀의 위아래가 끝까지 닫히지 않는 불완전한 눈 깜빡임이 증가하면서 눈물이 과도하게 증발되면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밖으로 보이는 증상은 유사하나, 원인이 다르다. 따라서, 인공누액점안을 사용하여 안구에 일시적으로 수분을 보충하거나 스테로이드 점안, 눈꺼풀 마사지, 온찜질 등을 통해 안구건조증을 완화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눈물 분비증가약물을 사용하기도 하나, 충혈과 같은 부작용으로 인하여 폭넓게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근본적 치료방법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보고에 따르면 한의학적 치료법을 통한 치료 증례가 많지 않았지만 혈위자극법, 침구치료병행요법 등이 치료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가 이어져 디지털 눈 건강을 위한 한·양방 융합 맞춤형 치료 솔루션이 등장하길 기대해 본다. 박건혁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