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기대하는 건 인구 감소와 지역경제 침체를 막을 마중물 구실이다. 사업 성격은 일과 휴양이 융합된 워케이션(workation)은 물론 두 지역살이, 로컬 벤처, 로컬 유학, 은퇴자 마을 등 사업명에서 쉽게 짐작이 간다. 선정된 사업을 통해 인구 감소를 상쇄하면서 선순환이 되게 해야 한다. 인구의 수평적 문제에 착안하며 사업 효과성을 높여 가면 불가능하지 않은 목표다.
이 사업과 별도로 보령을 예로 들면 생활인구가 실제 인구의 2배를 훨씬 넘어선다. 지역소멸 시계를 늦추는 힌트를 여기서 찾는다. 몇 시간 머무는 데 그치지 않고 일주일 중 며칠을 지역에서 보내는 4도3촌, 5도2촌 등 생활 방식도 추진해야 한다. 고향올래에는 부수적 기능이 많다. '은퇴자 마을'의 경우, 생활인구 확보 수단이면서 고령화 시대의 대안이 된다. 귀농어·귀촌인이 늘지 않은 현실에서 공주의 도시형 스마트팜 '팜잇다원' 조성 사업은 귀농으로의 확장성도 보인다.
지자체로 확산 단계인 디지털 관광주민증은 더 보완할 필요가 있다. 독일의 부주거지 개념을 참고해 복수주소제 도입 방안까지 찾아볼 만하다. 일본처럼 수도권 일극 집중을 억제하는 지방창생(地方創生) 정책도 추진해볼 가치가 있다. 국내 농업 가구가 100만 가구 밑으로 떨어진 것은 최근이다. 고향올래 사업이 체류형 생활인구 유입에서 그쳐선 안 된다. 정주인구와 생활인구 격차를 줄이는 노력까지 병행하면서 더 적합한 지원책을 설계하면 일석이조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