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수 자동차정비 기능사 |
기후변화, 지구 온난화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첫째 인류 문명 발달에 의한 공장, 자동차 등 화석 연료 사용이 증가하며 배출되는 많은 이산화 탄소 때문이다. 둘째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는 숲이 파괴되면서 온실 효과로 인해 대기 중에 더 많은 온실가스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구 온난화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예상치 못한 자연재해를 일으키는 원인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많은 자동차 회사가 내연기관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이산화 탄소 배출 가스 규제로 내연기관 차량 판매 중지 결정을 하고 친환경 자동차 생산에 집중하고 있다. 우리 주변에서도 최근 들어 친환경 자동차인 전기차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중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자동차는 고전압 배터리가 탑재되어 항상 감전과 화재 위험에 노출되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먼저 전기차는 사고 시 에어백 시스템과 연계되어 수 초 안에 고전압이 차단되는 안전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전기차 동력원인 리튬이온 배터리 특성은 전해질과 분리막을 사용하고 있어 온도 변화로 인한 배터리팽창이나 외부 충격에 의한 누액, 배터리 손상 시 위험이 존재한다. 리튬이온 배터리가 사용된 전기차 사고 시 배터리 열화, 발화 및 폭발이 발생하며 리튬이온 배터리 특성상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화재가 발생하면 산소가 없어도 불이 지속되어 화재를 진압하기 어렵다. 리튬이온 배터리에 강한 전류가 흐르거나 충격 또는 고온 환경에 노출되어 분리막이 손상될 때 +-상호 간 접촉으로 엄청난 열이 발생한다. 열에 의한 전해액이 열분해 되면, 가연성 가스가 발생하고 화재 또는 폭발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열폭주 현상이라고 부른다. 배터리 화재는 일반화재가 아니라 열폭주 즉 발열 반응이므로 화재를 진압하기 어렵고 진압한다고 하더라도 재발화의 위험이 있다.
안전하게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은 차량을 통째로 물에 담그는 방법인데 현실적으로 어려운 방법이다. 따라서 전기차 운전자들은 사고 또는 화재 시 안전 사항을 숙지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화재 발생 시 침착하게 신속한 화재진압을 하면 소방차 1대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운전자는 차량용 소화기를 구입해 비치할 것을 권한다.
전기차 소화기는 일반 소화기보다 CO2 소화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자동차 소화기는 유효기간이 10년이며 사용하지 않더라도 매월 소화기 지시압력이 초록색 정상위치에 있는지 확인하고 주기적으로 흔들어서 소화액이 굳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좋다. 일부 운전자는 자동차 트렁크에 사용하고 남은 워셔액을 물 대신 응급 진화용으로 사용하려고 하는데 워셔액은 인화성 물질이므로 화재진압에 적절치 않다. 오히려 사태를 악화시키고, 큰 화재로 번질 수 있으니 주의하여야 한다. 전기차 화재 발생 시 인터락커넥터를(PE룸의 퓨즈박스 내부에 위치하며 기존 내연기관의 엔진룸을 말함) 분리하여야 한다. 초기 화재 시 CO2 소화기를 사용하여 진압하고 만약 불을 끌 수 없다면 신속히 대피하는 것이 최선이며, 119에 신고 후 불이 꺼지기 전까지 차량에 접근하지 않아야 한다.
요즘 일부 신차에는 공기 저항을 줄이고자 오토플러시 도어 핸들이 적용되어 있다. 차량 문이 닫혀 있을 때 외부에 문손잡이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형태를 말한다. 이런 차들은 차량 외부 손잡이 형태가 달라 차 사고나 비상시 외부에서 신속하게 문을 열려고 할 때 당황할 수 있다. 이때는 문손잡이 앞부분을 누르면 뒤쪽 부분이 돌출되므로 손잡이를 당겨 응급으로 열 수 있다.
자동차마다 사용 방법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운전자는 자신의 차량 취급설명서를 숙지하여 안전사고에 대처해야 한다.
유진수 자동차정비기능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