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안 차장 |
내 경험을 돌이켜본다면, 2015년 남성끼리 교감을 나누는 목욕탕에서 발생한 한 사건을 알아보려 그곳에 돈을 내고 입장해 40분 정도 머물다가 나온 경험이 있는데, 그 시간에 탕 안에는 주인장과 나밖에 없어 별일이 없었거니와 어디서든 발생하고 있는 발생 사건에서 그것이 동성애 시설이었다고 해서 이 장소를 고발할 필요까지는 없겠다고 판단해 보도를 접은 일이 있었다. 또 2016년 대전 한 영화관에서 대구시 퀴어축제가 개최되기까지 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 상영회가 있어 방문했을 때 동성애 자녀를 둔 학부모가 관람객들에게 한 당부의 말이 지금까지 인상 깊게 남아있다. 자신의 성정체성이 옆에 있는 아이와 다르다는 것을 느끼고 이를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는데 7년이라는 시간이 걸린다고. 그 기간 주변의 따돌림과 자기부정으로 정체성을 받아들이지 못해 스스로 삶을 내려놓는 사고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는 말씀이었다.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게 교육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로 기억된다.
그리고 다시 시간이 흘러 2024년 퀴어축제가 다가왔고, 그들의 퀴어축제와 이에 반대하는 가족축제에 참여하며 '그럼 나는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고민했다. 나에게 던진 첫 질문인 축제인가 집회인가이었는데 성소수자의 권익이라거나 제도개선이라는 요구가 하나도 나오지 않고 골목 안에서 자신을 드러내고 소통하는 것으로만 활용되는 것을 보면서 축제가 맞다는 판단을 했다. 또 이번 화두가 찬성과 반대의 프레임이 명확하게 벌어졌는데, 과연 성정체성에 대해 반대하거나 찬성하는 일이 가능한 일은 아닐 거라고 생각한다. 성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에 나는 반대할 수 없고, 나에게 그럴 자격이 있지 않다. 다만, 현장에서 목격했던, 어린 두 자녀를 양손에 잡고 퀴어 현장을 한동안 바라보던 중년 여성이 무엇인가 걱정하는 것처럼 느껴졌는데, 그게 무엇인지는 알 것 같다. 개개인이 사회의 동일한 구성원이고 가치관이 다르더라도 그들이 목소리 내는 권리는 지켜져야 한다는 게 소심한 결론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