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흥수 경제부 차장 |
지구온난화의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그 중 하나인 폐 플라스틱 문제를 얘기하고자 한다.
플라스틱은 만들기 쉽고 사용하기도 편해 사용량은 증가하고 있는 반면, 너무 뛰어난(?) 내구성으로 자연에서 분해되는 데 수 백년이 걸리는 탓에 인류의 골칫거리가 된 지 오래다.
그렇다면 폐 플라스틱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현재 기술로는 녹여서 재활용하는 방법과 소각하는 방법밖에 없다. 문제는 재활용률이 10% 미만에 그친다는 점이다. 우리나라도 폐 플라스틱을 처리하지 못해 쌓아 두고 있으며, 국토 면적을 조금씩 잠식하고 있다.
앞서 정부와 지자체는 폐기물 에너지 사업화 정책으로 폐 플라스틱을 고형연료(SRF)로 재활용해 에너지 자원으로 사용하려고 했지만, 소각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우려한 주민들의 집단 반발로 무산됐다.
실제 수년 전 충남에서도 내포신도시에 SRF열병합발전소를 짓다가 주민 반대로 LNG시설로 전환됐었고, SRF열병합발전소를 더 빨리 완공한 전남 나주시의 경우 분쟁으로 인해 최근에는 전 시장이 고발되기도 했다.
물론 해당 주민들을 비난할 마음은 추호도 없다. 내 집 앞에 기피시설이 들어선다는 데 반길 사람이 어디 있겠나?
나부터라도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줄여보자는 생각에 몇 년 전부터 텀블러를 가지고 다니는 노력을 해왔다.
그러다 얼마 전, 초등학교 2학년이 된 자녀가 거품 목욕을 하고 있는 것을 보게 됐다. 스프레이형 제품이었는데, 욕조에 거품을 다 채우려면 족히 반 통은 써야될 듯 싶었다.
나로선 이해가 되지 않았다. 청결이 아닌 놀이의 목적으로 지구를 더럽힌다고? "생활폐기물을 줄이지는 못할 망정, 왜 이런 걸 구매했냐"며 와이프에게 따지듯 물었지만, 돌아온 것은 핀찬 뿐이었다.
와이프의 말을 요약하자면, "아이고~ 환경운동가 나셨다. 주위 엄마들은 박스째로 사놓고 쓴다. 몇 개 사지도 않는데 무슨 호들갑이냐"였다.
충격이었다. 평소 아파트 동대표 급 친화력과 정보력을 자랑하는 와이프가 말한 '주위 엄마'들이 실제로 있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최근 수 많은 기업들이 ESG 보고서를 통해 환경보호 실적을 대내외에 알리고 있고, 정부에서도 '바이바이(Bye Bye) 플라스틱 챌린지' 등을 통해 국민 계몽에 나서고 있지만 아직 개개인의 의식 전환까지는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인간의 수명은 유한하다. 지구는 내 아들, 내 손주, 우리의 미래세대들에게 잠시 빌려쓰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나 하나는 괜찮겠지'는 더 이상 안된다는 말이다. /김흥수 경제부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