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유학 시대의 개막은 의대 증원분이 비수도권 의대(서울을 제외한 수도권 의대 포함)에 배정된 결과다. 학부모의 시선은 수도권에 가까운 충청이나 강원의 지역 의대에 더 꽂힌다. 충청권은 초등생 237명이 순유입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새로운 형태의 기러기 아빠도 속출할 전망이다. 수도권에서 지역으로 이주하고 지역 학생의 수도권 유출 완화 효과까지 있다면 이보다 좋을 수는 없다. 지역·공공의료의 핵심 인력이 되도록 특화 인력 별도 선발 등 보완책이 따른다는 전제에서다.
중앙부처가 밀집한 세종 지역도 서울 발령이나 중학교 입학 시기에 맞춘 서울 전학을 희망하지 않는 분위기가 일부 형성되고 있다. 지역인재전형 근거인 지방대육성법(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의 순기능을 취지 그대로 잘 살리는 방향이 돼야 할 듯하다. 이공계 학생의 의대 쏠림도 함께 걱정해야 할 부분이다. 2028년 과학기술 신규 인력은 4만7000명 이상 부족해진다. 이공계 진로 기피 현상이 심화하지 않도록 유인책이 요구된다. '기술패권 인재전쟁'도 정말 중요한 '전쟁'이기 때문이다.
초등생 이주는 부적응을 우려해 중학교 이후 아닌 초등학교 졸업 전후를 전학 시점으로 잡기에 생긴 일이다. 아무튼 수도권 학생의 지역 유입 자체는 쌍수를 들고 환영할 현상이다. 다만 증원된 선발 인원이 지역의사 증가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문제다. 수도권 학생들의 의대 진학 통로가 될 뿐이라면 제도 도입 취지가 퇴색한다. 의사 증원은 지역의료, 공공의료 확충이라는 큰 틀과 맞물릴 때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수도권 초등생 지방 유학도 의사 인력난 등 공동화되는 지역의료 현실을 해결하는 유력한 수단이 되게 해야 '금상첨화'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