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자연휴양림 내 장미원 전경. 사진=충남산림자원연구소 제공. |
문제의 발단은 2012년 7월 세종시 출범과 함께 비롯했다. 행정구역이 충남 연기군 금남면에서 세종시 금남면으로 바뀌면서, 양 지역 모두가 불편한 상황을 겪어왔다. 연구소는 1994년 문을 열고 30년째 현재 입지를 지켜왔다.
주된 이용 수요는 접근성 측면에서 세종시민들 몫이 됐다. 정작 요금 50% 할인 혜택은 관련 규정상 충남도민에만 해당했다. 금남면 거주자들만 여기에 포함됐고, 나머지 23개 읍면동 주민들은 전국 16개 시·도와 같은 이방인 신세가 됐다. 전 국민적 건강 트렌드로 떠오른 맨발걷기장만 방문하고 싶어도 문턱은 높았다. 입장할 때마다 주차료부터 입장료를 지불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세종시와 충남도가 7월 3일 체결한 협약은 미래 기대감을 갖게 했다.
충남도는 산림자원연구소 이전이란 숙원 사업 해결과 함께 지역 균형발전 가치를 실현하고, 세종시는 새 기능 유치를 통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민호 시장과 김태흠 지사는 이날 세종시청에서 만나 공동 노력을 전개하기로 했다. 향후 가동될 부지 매각 공동 대응 TF(단장 양 기관 기획조정실장)가 민간 매각 절차의 중심에 선다.
양 지역이 부지 매각 공동 TF 구성을 통해 충남산림자원연구소 이전안의 해법을 찾기로 했다. 사진=세종시 제공. |
난개발과 함께 부실한 PF 사업자 참여 우려도 씻어내야 할 대목이다. 과거 마이스(MICE) 산업 중심지 구상안이 있었으나 시간이 꽤 흘렀고, 금강을 배경으로 한 테마파크 조성안도 수면 위에 올라왔으나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된 바 있다. 마이스는 기업 회의와 인센티브 관광, 컨벤션, 전시가 종합적으로 이뤄지는 산업을 뜻한다.
변변한 대체 시설이 들어오지 못할 경우, 세종시 정주 여건도 퇴색될 전망이다.
산림자원연구소와 같은 부지에 있는 금강자연휴양림 일대는 광릉수목원에 이어 2번째로 큰 산림박물관이 자리잡고 있는 등 중부권 최대 휴양림 입지를 굳혀왔다.
주요 시설은 1150종을 갖춘 수목원(61.5ha)과 숲속의집 7동 12실 등의 자연휴양림(184ha), 야생화원 196종(1.1ha)을 기본으로 한다. 여기에 산림박물관 5개 전시실(3173㎡)과 339종의 열대 온실(1685㎡), 홍교 등 연못(4310㎡), 창연정(118㎡), 동물마을 4동 5개소(7076㎡), 맨발 걷기장 등이 포진하고 있다.
최민호 시장은 "이번 교류는 세종시와 충남도가 상생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충남도와 최대한 협력해 앞으로 이전할 충남산림자원연구소 부지에 충청 지역민의 문화 향유 시설이 유치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태흠 지사는 10년 이상 방치된 이전론에 대해 "세종시 출범 시점에서 중앙정부를 상대로 교환이나 매입 등을 강하게 요구했어야 했다. (도지사) 취임 후 국가 매입 건의를 해왔으나 여의치 않아 민간 매각의 방식을 찾고 있다"며 "현재 여러 기업의 관심이 나타나고 있다. 세종시와 원팀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화답했다.
양 지역이 목표 시기로 내세운 2027년까지 산림자원연구소 이전과 대체 개발이란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