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의회 제9대 후반기 이덕수 의장 취임 기자회견 |
2009년 통합 시 추진이 시도된 이후 15년 만에 다시 통합 시 추진이 거론되어 주목받았다.
이날 이덕수 의장은 "지방소멸의 문제는 지방 소도시에 국한되지 않는 문제"라며 "광역시 급 발전의 필요성은 ▲인구문제 해결 ▲혁신과 발전 ▲지속 가능한 발전이다"고 언급했다.
성남시정연구원 자료(줄어드는 인구, 늙어가는 도시 2023)에 따르면, 성남시 인구는 2010년 99만 6524명을 정점으로 매년 감소하여 2023년 8월 기준 총 인구는 91만 8077명으로 가파른 인구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높은 부동산 가격으로 인해 인구 유입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차산업을 선도할 거점 도시 성장을 위해서는 부지확보도 절실한 상황이다. 현재 제1, 2 판교테크노밸리 성공에 힘입어 금토동 일대 제3 판교테크노밸리 조성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주거부지 확보의 어려움으로 근로자들의 직주근접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통합시 추진을 통해 다양한 산업의 협력 강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이 이 의장의 판단이다.
그러면서 이 의장은 통합이 추진되면 "성남·광주시가 직면한 교통문제 해결이 한결 수월해질 전망이다. 성남~광주간 도로 확장 건설 추진에 속도를 내는 것은 물론, 위례신사선 연장 등 정부 주도의 철도 건설사업에도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성남 광주시의 인구(약 134만 명)가 100만명을 넘어서게 되면 부시장을 2명으로 늘리고, 행정기구 및 공무원 정원은 인구, 도시특성, 면적 등을 고려해 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뿐만 아니라 "50층 이하 연면적 20만㎡ 미만 건축물의 건축허가에 대한 도의 사전 승인권이 폐지되고 도지사와의 사전 협의를 거쳐 택지개발 예정지구를 지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덧붙여 "성남·광주시의 통합으로 기업 유치 및 산업단지 개발 등을 자체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등 경기도의 그늘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산업정책을 펼칠 수 있고, 통합시의 재정규모는 약 5조6500억 이며, 지역 내 총생산(GRDP, 2015년 기준)은 약 60조에 달하고 전체 사업체 수(2022년 기준)는 약 14만6000곳에서 종사자 수는 약 70만 명의 일자리가 확보되어 거대한 산업·경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메가시티의 면모를 갖추게 될 것이다"고 밝혔다
끝으로 "역사적으로도 성남시와 광주시는 뿌리를 같이 하고 있다. 성남(城南)이라는 지명은 남한산성의 성곽 남쪽의 일원에서 본딴 것으로 성곽 남쪽이라는 뜻에서 유래됐고, 시 승격 이전 (1973년)에는 광주군 중부면 성남 출장소였다"며 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이덕수 의장은 "성남·광주 통합시 추진은 정체된 지역 경제를 재도약 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라며 "앞으로 공론화 과정을 통해 기술적, 사회적 통합을 순차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성남=이인국 기자 kuk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