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현 산림청장이 집중호우 대비 산림다중이용시설을 점검하는 모습. [출처=산림청] |
먼저 산림청은 기존 2단계(주의보→경보)로 운영 중이던 '산사태 예측정보' 체계에 '예비경보'를 추가해 3단계(주의보→예비경보→경보) 운영에 들어갔다. 이를 통해 1시간의 주민대피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산사태 예측정보는 산림청이 운영하고 있는 '산사태정보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정보다. 이 정보는 토양이 머금을 수 있는 최대 물의 양 기준으로 토양함수량이 80%에 다다르면 '주의보', 100%에 다다르면 '경보'를 자동 생산한다.
예측정보는 즉시 각 지방자치단체 담당자 및 부단체장에게 전송돼 현장에서 주민대피, 산사태예보 발령 등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지자체뿐만 아니라 국민 누구나 '산사태정보시스템'과 모바일 '스마트산림재난' 앱에서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토양함수량이 90%에서 100%에 도달하는데 평균적으로 약 1시간이 소요된다. 그런 만큼 '예비경보' 단계를 추가해 약 1시간의 대피시간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함께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되면서 산사태 발생해 대비해 중앙산림재난상황실도 24시간 운영에 들어갔다. 상황실 24시간 운영과 각 지역 산사태취약지역을 우선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다.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현장점검도 강화했다. 앞서 산림청은 4월부터 국·공·사립 산림휴양시설 466개소에 대해 일제 안전점검을 완료했다. 또한 이번 여름철 성수기와 장마철을 대비해 이용자들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산림휴양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수시로 현장점검을 벌이는 중이다.
점검에서는 안전기기 작동여부, 위생관리 상태, 전기·소방안전 설비를 살피고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계류보전사업지와 산사태취약지역 주변의 위험요소 여부를 살폈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자연휴양림과 숲속 야영장 등 다중이용시설을 철저하게 점검해 국민들이 안전하게 자연휴양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산사태는 다수의 인명과 재산 피해의 우려가 높은 자연재난으로 선제적인 예방과 대피가 가장 중요하다. 대피문자 수신 시 주저 없이 대피해 달라"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