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취재]민주평통 대전서구협의회, '따뜻한 동행! 윗동네·아랫동네 손잡고 함께하는 영화나들이'

  • 사람들
  • 뉴스

[현장취재]민주평통 대전서구협의회, '따뜻한 동행! 윗동네·아랫동네 손잡고 함께하는 영화나들이'

탈북민이 직접 제작, 출연한 인권영화 '도토리'상영, 대전사랑메세나에서 탈북민들 초청, 영화 관람 후원, 민주평통에서 식사와 선물 후원
탈북민 김동수 (주)원코리아미디컴 이사장, 이동현 도토리영화 총괄 프로듀서 등 탈북민들을 만나다

  • 승인 2024-06-29 02:08
  • 수정 2024-06-29 21:35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1
“북한의 실상을 전 세계에 전하고 탈북민들의 유린된 인권을 호소하고 싶어서 이 영화를 제작했습니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이하 민주평통) 대전서구협의회(회장 이창종)가 6월27일 오후 7시 메가박스 대전신세계아트앤사이언스에서 북한이탈주민과 지역주민, 자문위원 등 1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따뜻한 동행! 윗동네·아랫동네 손잡고 함께하는 영화나들이' 행사로 탈북민 인권영화 '도토리'를 상영회를 하기에 앞서 탈북민인 도토리 영화 제작자 김동수 (주)원코리아미디컴 이사장이 이렇게 말했다.

20240627_190806
탈북민인 도토리 영화 제작자 김동수 (주)원코리아미디컴 이사가 영화 제작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이동현 도토리영화 총괄 프로듀서는 “이 영화는 북한의 현실과 인권 문제를 다루고 있다”며 “단순히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정신을 반영하면서 탈북자들이 겪은 열악한 수감 생활, 가혹한 고문, 그리고 탈북과정에서 겪은 경험을 생생하게 담아냈고, 탈북자들이 직접 제작, 출연, 편집한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20240627_191229
이동현 도토리영화 총괄 프로듀서가 영화 제작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전하고 있다.
이 프로듀서는 특히 “영화를 제작하는 1년 반 동안 탈북민들이 자신의 금반지를 팔아 제작비를 댄 눈물겨운 영화”라며 “처참한 북한 인권의 실상을 알아주시고 저희의 노력을 지지해주시고 도와주시면 고맙겠다”고 전했다.



20240627_192514
대전에서 탈북민들의 대부 역할을 하고 있는 이영철 도토리영화 이사가 대전에서 최초로 이 영화를 만날 수 있게 돼 기쁘고 고맙다고 말했다.
대전에서 탈북민들의 대부 역할을 하고 있는 이영철 도토리영화 이사(대전서구민통상임위원. 사랑나눔협회 대표, (주)엘티케이 대표)는 “이 영화는 미국에서 이미 시사회를 가졌는데 이 영화의 대본과 감독을 맡은 허영철 감독은 지금 미국에 건너가 500여 개 상영관에서 영화를 상영할 계획을 갖고 있다”며 “한국에서는 대전의 민주평통서구협의회가 최초로 이 영화를 상영해주신 것”이라고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Resized_20240627_205356_1719489430617
이영철 이사는 특히 “3만5000여 탈북민들의 염원을 담아 만든 이 영화를 대전에서 맨 처음 만나게 돼 기쁘다”며 “저는 43세이던 2003년 탈북해 이제 21년이 지나 64세가 됐고 대전을 너무나 사랑한다”고 말했다.

20240627_205914
사진 왼쪽부터 이영철 도토리 영화 이사, 류지원 도토리 영화 출연배우 겸 가수, 필자. 이창종 민주평통 서구협의회장, 이동현 도토리영화 총괄 프로듀서, 김동수 (주)원코리아미디컴 이사장
이날 영화에 직접 출연한 배우 겸 가수 류지원 씨는 “영화 '도토리'는 김포의 스튜디오에서 1년이 넘게 고생고생하며 눈물겹게 촬영한 실화 영화”라며 “저희 북한이탈주민들의 생생한 증언을 기반으로 제작된 이 영화를 대한민국은 물론 전 세계 모든 국민들이 봐주시고 북송위기에 놓인 중국 탈북민들을 도와주시면 고맙겠다”고 말했다.

20240627_190225 (1)
이창종 민주평통 대전서구협의회장은 7월14일 탈북민의 날 제정을 기념해 주변의 북한이탈주민들을 더 잘 이해하고 도와드리며 따뜻하게 같이 손잡고 살아가는 의미를 되새기고자 한다고 전했다.
이창종 민주평통 대전서구협의회장은 "7월14일 탈북민의 날 제정을 기념해 주변의 북한이탈주민들을 더 잘 이해하고 도와드리며 따뜻하게 같이 손잡고 살아가는 의미를 되새기고자 한다”며 “자유민주주의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시간을 지속적으로 제공해드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이어 “앞으로도 관내 북한이탈주민과의 간극을 줄이고 소통의 시간 확대를 통해 남한사회 조기 정착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40627_190443
북한이탈주민들을 영화관에 초청한 대전사랑메세나(대표 김진혁/동안미소한의원 원장)의 김진혁 대표를 대신해 김경옥 대전사랑메세나 부대표가 인사말하고 있다.
이날 북한이탈주민들을 영화관에 초청한 대전사랑메세나(대표 김진혁/동안미소한의원 원장)의 김진혁 대표를 대신해 김경옥 대전사랑메세나 부대표는 “저희 대전사랑메세나에서는 6년째 소외계층과 취약계층을 초청해 영화관람을 시켜주고 있다”며 “이제까지 500관 이상을 대여해 소외계층에게 영화 관람을 시켜줬는데 앞으로 민주평통 서구협의회와 함께 북한이탈주민 등 어려운 이웃들을 도우며 함께 어울려 재미있게 봉사나눔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20240627_205905
사진 왼쪽부터 이영철 도토리 영화 이사, 류지원 도토리 영화 출연배우 겸 가수, 필자. 이창종 민주평통 서구협의회장, 이동현 도토리영화 총괄 프로듀서, 김동수 (주)원코리아미디컴 이사장
관람객들은 이날 도토리 영화를 보고 난 후 “탈북민들이 굶주림에 시달리다가 북한 탈출 과정에서 북한 군인들에게 붙잡혀 무자비하게 폭행 당하고 고문당하고 총살당하는 장면을 보고 너무나 가슴이 아프고 괴로웠다”며 “인권 유린의 현장은 지옥과도 같이 처참해서 전 세계가 북한의 실상을 알고 이들을 구출해냈으면 하는 바람이 간절하다”고 말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수정)"유성녀 아산문화재단 대표 선임자, 학력·경력·석박사 학위 허위" 의혹
  2. 지인 자녀 성폭행 혐의 50대 구속기소…다이어리 등 자료확보
  3. 누전차단기조차 없는 목욕탕이었다…3명 감전사 업주 기소
  4. 심혈관질환 공백에 충주의료원 역할은…의료빅데이터 첫 세미나 '눈길'
  5. 아산시 광덕산에서 멸종위기 2급, '애기뿔 소똥구리' 발견
  1. 동급생 집에 찾아가 살해 여고생 항소심소 징역 15년 선고
  2. 공군, 신규 우주전력 우주작전전대 창설
  3. 아산시의회 제9대 후반기 의장에 홍성표 의원 선출 -부의장에 맹의석 의원
  4. NH농협 아산시지부-선도농협, '농촌왕진버스' 운영
  5. 천안시, '6·25 그날의 영웅들' 기억사진 촬영

헤드라인 뉴스


巨野 차기 지도부 충청 공백사태 오나

巨野 차기 지도부 충청 공백사태 오나

국회 170석을 차지한 거대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차기 지도부에 충청 공백 사태가 우려된다. 새 지도부를 선출하는 8·18 전당대회에 당 대표는 물론 최고위원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충청권 인사가 전무 하기 때문이다. 충청 현안 관철을 위해선 원내 다수당 지도부의 지원사격이 필수라는 점에서 지역 정치권 안팎에서 대책 마련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8월 전대에 당 대표 후보로는 '어대명'(어차피 대표는 이재명)을 넘어 '확대명'(확실히 대표는 이재명)으로 흐를 관측이다. 이재명 전 대표의 연임 도전을 가로막겠다는..

대전시와 캘거리시, 과학·경제 공동발전 기대
대전시와 캘거리시, 과학·경제 공동발전 기대

이장우 대전시장은 국외출장 5일 차인 6월 28일(현지시각) 캐나다 캘거리로 이동해 세계경제과학도시연합 유치에 나섰다. 이 시장은 댄 맥클린 캘거리 부시장을 만나 9월 대전에서 개최되는 도시연합 창립식에 캘거리시를 초청하고, 도시연합에서 추진할 경제 교류사업 구체화 발표 등을 제안했다. 대전시는 캘거리와 9월 도시연합 창립식에서 시범사업 모델로서 제안할 창업지원 및 스케일업, 북미시장 진출 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양 도시 내 관련 기관들과 협의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26년은 캘거리와 자매도시 30주년이 되는 해로 두..

R&D 복원·출연연 활성화 방안에 과학기술계 "무너진 연구 생태계 복원 노력해야"
R&D 복원·출연연 활성화 방안에 과학기술계 "무너진 연구 생태계 복원 노력해야"

정부가 2025년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예산을 삭감 이전 수준으로 복원하고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내놓았지만 현장 연구자들의 불만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오랜 시간 요구한 정책 개선안과 연구자 사기 진작을 위한 내용은 담기지 않았으며 2024년 R&D 예산 삭감으로 인한 연구현장 피해 회복을 위한 방안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6월 30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정부가 출연연 활성화 추진방안과 2025년 R&D 예산 규모를 연달아 발표한 이후 현장에선 연달아 불만족스러운 반응을 쏟아냈다. 20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방치 절개지 ‘아찔’ 장마철 앞두고 방치 절개지 ‘아찔’

  • 더 넓은 세상을 향한 장애인들의 아름다운 도전 더 넓은 세상을 향한 장애인들의 아름다운 도전

  • 텅 빈 의원석…대전시의회 의장 선출 못하고 파행 텅 빈 의원석…대전시의회 의장 선출 못하고 파행

  • ‘최저임금 인상하라’ ‘최저임금 인상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