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하지감자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하지감자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4-06-28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의학 관련 강의를 듣고 있는데, 전화벨이 울렸다. 저녁시간이라 전화 올 일이 없을 것 같아 무음으로 바꿔놓지 않은 탓이다. 부리나케 강의실 밖으로 나와 받으니, 1층으로 간식 먹으러 내려오라는 전화였다.

1층 강당에서는 합창단이 연습 중이다. 왁자지껄한 로비로 내려와 보니 원탁마다 마늘빵과 찐 감자, 음료가 준비되어 있다. 단원들과 정겹게 인사 나누고 빈자리에 앉았다. 굴풋하던 차여서 모두가 꿀맛이다.

감자는 가난의 상징 아니던가? 먹을 것이 부족하던 어려운 시절이 연상된다. 춘궁기엔 간식이라기보다 주식에 가까웠다. 산간지방에서는 주식으로 먹기도 한다들었다. 허기 달래기엔 최고여서,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구황작물이었다. 주로 쪄서 먹었지만, 감자밥 · 감자범벅 · 감자부침개 · 감자 샐러드 · 감자수제비 · 감자조림 등 다양하게 조리해 먹는다. 녹말 · 당면 · 엿 · 주정 · 통조림 등 각종 가공식품으로 만들어 이용하기도 한다.

하지 무렵 수확하기 때문에 하지감자라고도 불렀는데, 마령서(馬鈴薯), 북감저(北甘藷), 지슬이라고도 한다. '마령서(馬鈴薯)'는 감자를 뽑아 올렸을 때 말목에 매다는 방울이 모여 있는 것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감저(甘藷)'란 말은 본래 사탕수수와 고구마를 이르는 말이었다. 60년 먼저 들어온 고구마가 있어, 혼동을 피하고자 '북방에서 온 감저'라는 의미로 '북감저(北甘藷)'라 불렀다 한다.?우리 동네에서는 방언인 '북감자'라 부르기도 했던 기억이다. 경로가 기준이 되어 북쪽에서 전래된 감자는 '북저(北藷)', 일본 통하여 남쪽에서 전래된 고구마는 '남저(南藷)'라 하기도 한다. '지슬'은 제주도 방언으로 기슭이란 뜻이다. 척박한 환경과 가뭄, 어디에서나 잘 자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리라.



하지는 우리가 살고 있는 북반구의 일 년 중 낮 길이가 가장 긴 날이다. 당연히 밤 길이는 가장 짧다. 보리와 밀을 수확하여 타작하고, 감자, 마늘, 대마 등은 거두어 갈무리하였다. 병충해 방재 등 기존 작물의 관리는 물론, 수확과 아울러 새로운 작물도 파종해야 했다. 누에도 치고, 장마 대비 비설거지 까지 해야 하기 때문에 일거리가 무척 많은 시기다. 분주했던 농촌 일상이 주마등처럼 스친다.

미술 하는 한 친구가 계족산 자락에 있는 1000여 평 땅을 선친으로부터 물려받았다. 농사짓는 재미에 푹 빠져, 아주 열심이다. 일하는 현장에 수차례 가본 적이 있다. 텃밭이라 하기에는 넓고, 전문 농장으론 규모가 작아 애매한 크기다. 그러거니 일상생활에 필요한 채소며 과일을 골고루 심었다. 상품으로 팔기에는 규모가 작아, 수확한 농산물을 지인들과 나누었단다. 친환경농법으로 직접 땀 흘려 생산하였을 뿐만 아니라 신선한 것이기에 자랑스럽고 즐거웠다. 받는 사람 역시 무척 반겨주었다. 그런데 처음만 그랬을 뿐, 반복되자 점차 귀찮아하는 기미가 보이더란다. 아무래도 보기에 지저분하고 상품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냥 줄 곳도 마땅치 않았다.

고민 끝에 생각해 낸 것이 체험학습장이었다. 가꾸는 것은 직접하고, 수확은 유치부, 초등부 아이들이 하게 하는 것이다. 살충제나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아 자연스럽게 곤충, 벌레, 지렁이 등과 만날 수 있다. 흙 놀이는 물론, 일하는 즐거움, 수확의 기쁨을 만끽한다. 작은 힘으로 쉽게 캘 수 있도록 땅을 먼저 들춰놓는다. 아이가 플라스틱 모종삽으로 아래쪽 흙을 조금 파헤치고 들어 올리면, 여러 알의 열매가 주렁주렁 따라 나온다. 여기저기 환호성이 터진다. 자신이 채취한 농산물은 각자 가져가게 한다. 부족한 것은 일정 양이 되도록 추가하여 채워 보낸다. 아이들이 6월엔 감자, 9월 말경 고구마 캐는 모습을 보았다. 먹거리의 생산 과정이 절로 이해되며 자연친화적이어서 좋은 프로그램이란 생각이 들었다.

예나 지금이나 감자는 변함이 없지만, 농사짓는 목적, 역할이나 용도, 인식이 매우 다르다. 어디 감자뿐이랴, 세상일이 다 그렇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최종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학대 마음 상처는 나았을까… 연명치료 아이 결국 무연고 장례
  2. 원금보장·고수익에 현혹…대전서도 투자리딩 사기 피해 잇달아 '주의'
  3. 김정겸 충남대 총장 "구성원 협의통해 글로컬 방향 제시… 통합은 긴 호흡으로 준비"
  4. [대전미술 아카이브] 1970년대 대전미술의 활동 '제22회 국전 대전 전시'
  5. 대통령실지역기자단, 홍철호 정무수석 ‘무례 발언’ 강력 비판
  1. 20년 새 달라진 교사들의 교직 인식… 스트레스 1위 '학생 위반행위, 학부모 항의·소란'
  2. [대전다문화] 헌혈을 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
  3. [사설] '출연연 정년 65세 연장법안' 처리돼야
  4. [대전다문화] 여러 나라의 전화 받을 때의 표현 알아보기
  5. [대전다문화] 달라서 좋아? 달라도 좋아!

헤드라인 뉴스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시와 충남도가 행정구역 통합을 향한 큰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홍성현 충남도의회 의장은 21일 옛 충남도청사에서 대전시와 충남도를 통합한 '통합 지방자치단체'출범 추진을 위한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수도권 일극 체제 극복, 지방소멸 방지를 위해 충청권 행정구역 통합 추진이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대를 갖고 뜻을 모아왔으며, 이번 공동 선언을 통해 통합 논의를 본격화하기로 합의했다. 이날 공동 선언문을 통해 두 시·도는 통합 지방자치단체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충북은 청주권을 비롯해 각 지역별로 주민 숙원사업이 널려있다. 모두 시·군 예산으로 해결하기에 어려운 현안들이어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사업들이다. 이런 가운데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기대가 크다. 윤 정부의 임기 반환점을 돈 상황에서 충북에 어떤 변화가 있을 지도 관심사다. 윤석열 정부의 지난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충북지역 공약은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 57개 세부과제다. 구체적으로 청주도심 통과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구축,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