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언론진흥재단,중도일보에서 찾아가는 저널리즘 특강 주최

  • 사람들
  • 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중도일보에서 찾아가는 저널리즘 특강 주최

김문환 BJC저널 편집장, 중도일보 기자들 대상 ‘신문기사 작성’(스트레이트, 르포르타주) 제목으로 특강

  • 승인 2024-06-27 16:03
  • 신문게재 2024-06-28 7면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20240627_091207 (1)
“저널리즘이란 최대한 진실 여부를 파악한 사실로, 새로운 정보를 말과 글과 영상으로 전달하는 행위입니다. 미디어 융합 영상시대에 저널리스트는 이슈를 가리는 이성적 판단, 진실을 찾는 정확한 취재, 균형을 갖춘 공정한 접근으로 논리적 신문기사를 작성해야 될 것입니다.”

20240627_091217
한국방송기자클럽인 BJC 저널의 편집장을 맡고 있는 김문환 전 SBS 기자(전 매일경제신문 기자, 성신여대 초빙교수)가 27일 오전 중도일보 4층 회의실에서 열린 한국언론진흥재단 주최 찾아가는 저널리즘 특강에서 중도일보 기자들을 대상으로 '신문기사 작성'(스트레이트, 르포르타주)에 대해 특강하는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20240627_091220
김 편집장은 “기사와 제목은 짧고 간결하게 쓰는 게 클릭 수가 높아지고 기획기사 작성의 경우 소재 선정, 사전 취재, 섭외, 사전구성, 현장 취재를 거쳐 기사 작성이 이뤄진다”며 “기획기사의 기본은 아이캐쳐 이미지 확보”라고 설명했다.

20240627_093722
20240627_094608
이어 김 편집장은 “기획기사 작성은 구성이고, 구성은 바로 문단 나누기”라며 “1분단(기) 도입부는 현장 사례, 묘사(특정현장), 2문단(승) 전개부는 수치, 통계, 전체 상황(전체 실태), 3문단(전) 심화부는 원인, 문제(규명), 4문단(결) 결론부는 전망, 개선점(제안)을 다뤄주면 된다”고 설명했다.



20240627_095921
김 편집장은 또 “미디어 보도내용에 있어서 논리 프레임보다 감정 프레임일 때 커뮤니케이션 효과가 더 크다”며 “감정 전달 서술이 그렇지 못한 서술보다 커뮤니케이션 효과가 높고, 감정 프레임 전달은 곧 이미지”라고 말했다.

20240627_101442
20240627_100510
김 편집장은 “기획기사를 억지로 찾지 말고 보도자료를 현장으로 가져와 폼 나는 르뽀르타쥬를 작성해보라”고 조언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연고 e스포츠 구단 속속 늘어난다
  2. 대전CBS 13대 운영이사장에 김철민 목사 취임
  3. [현장취재]민주평통 대전서구협의회, '따뜻한 동행! 윗동네·아랫동네 손잡고 함께하는 영화나들이'
  4. [현장을 찾아서]김덕균 한국효문화진흥원 효문화연구단장 정년퇴임식
  5. [날씨] 이번 주말 돌풍 동반 강한 비 내려
  1. '국회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무산된 행정수도 재소환
  2. 산업인력공단 대전본부장에 신장호 취임 "지역 경제성장 마중물 최선"
  3. 폭염 대비 ‘저소득 어르신 건강한 여름나기’ 후원
  4. 국립한밭대 '글로컬대학30 및 통합추진 원칙' 대학 구성원과 공유
  5. '세종시=행정수도' 거점, 세종동(S-1) 국가상징구역 미래는?

헤드라인 뉴스


대전역세권 개발과 맞물린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 `관심`

대전역세권 개발과 맞물린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 '관심'

대전시가 대전역 주변을 중심으로 '메가 충청 스퀘어 조성사업' 등을 추진하면서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에 관심이 쏠린다. 메가 충청 스퀘어 등 대전역세권 일원이 복합 인프라를 갖춘 공간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전망돼 인근 지역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어서다. 27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 도심융합특구는 대전역세권과 선화구역 일원 142만㎡에 2031년까지 사업비 2조3000억 원을 투입해 메가 충청 스퀘어와 복합환승센터, 문화공간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메가 충청 스퀘어는 소제동 일대 1만4301㎡, 연면적 22만9000㎡의..

6·25 전사 경찰관, 74년 만에 국가의 품에 안기다
6·25 전사 경찰관, 74년 만에 국가의 품에 안기다

"엄마 말씀 잘 듣고 있어라." 6·25 전쟁이 발발하자 27살의 경찰관 아빠는 6살 어린 딸의 머리를 몇 번이나 쓰다듬은 후 집을 나섰다. 쏟아져 내려오는 북한군에 맞서 용감히 싸우다가 전사한 그의 유해는 2007년 발굴된 후 올해 초 신원이 확인됐고, 2024년 6월 27일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지 74년 만에 드디어 국립묘지에 안장됐다. 경찰청은 27일 국립 대전현충원에서 최근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을 통해 신원이 확인된 전사 경찰관에 대한 유해 안장식을 거행했다. 이번에 안장되는 전사 경찰관은 6·25 전쟁 당시 서..

대전, 바이오 신약 개발 `날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발판
대전, 바이오 신약 개발 '날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발판

대전시가 정부의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되면서 제약 바이오 글로벌 중심 도시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연구개발(R&D) 인력이 풍부한 대전시에 정부와 지자체의 장기간 대규모 지원이 이뤄지면서 바이오 신약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27일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 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공모' 결과 바이오 의약품 분야에서 대전이 최종 선정됐다. 이로써 대전은 각종 굵직한 예산과 각종 혜택의 주인공이 되면서 신약 개발 과정에서 겪었던 설움을 한 번에 털어낼 수 있게 됐다. 대전은 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방치 절개지 ‘아찔’ 장마철 앞두고 방치 절개지 ‘아찔’

  • 더 넓은 세상을 향한 장애인들의 아름다운 도전 더 넓은 세상을 향한 장애인들의 아름다운 도전

  • 텅 빈 의원석…대전시의회 의장 선출 못하고 파행 텅 빈 의원석…대전시의회 의장 선출 못하고 파행

  • ‘최저임금 인상하라’ ‘최저임금 인상하라’